[하이리치 증시전망]두바이가 준 선물

두바이 쇼크가 시장의 활력 불어넣어

[증권방송 하이리치 애널리스트 임현우 (필명 검투사)]
두바이 쇼크 이후 국내증시는 충격을 훌훌 털어버리며 연 5일째 상승 기조를 이어갔다.

지난 4일 국내증시는 1624p(0.60%↑)로 강한 상승세를 보이며 장을 마감했다. 외국인들과 기관은 금융, 전기전자, 제조업종에서 강한 매수를 보여줬다.기술적분석상으로 현 지수구간은 60일 이평선을 웃돈 반면 전 고점을 앞에 두고 있어, 돌파여부가 주목된다.
저항 포인트는 1625~1630p 내외가 될 것으로 보이며, 과거에도 보여줬듯 저항 돌파를 위해서는 적어도 외국인들이 1500억 이상 정도의 강한 매수를 지속적으로 동반해 줘야 쉽게 돌파도 가능할 수 있으리라 보인다.

만일 연 5일 상승에 대한 피로감으로 인해 어느 누구도(외국인, 기관) 강한 매수를 동반하지 않는다면, 지난주 초에 보여줬던 1600~1630p 밴드에 갇혀 잠시 숨 고르기를 위한 장이 펼쳐질 가능성도 있다.

추가적으로 최근 며칠간의 시장상황을 지켜보면, 두바이 쇼크가 오히려 시장의 활력을 불어 넣었다는 생각이 든다. 첫째, 두바이 쇼크로 인해 일부 이머징마켓에서는 쇼크의 확산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나, 한국은 빠른 회복세를 보이며 반등하고 있다. 일본이 디플레이션, 엔화강세, 더딘 경제회복이라는 3중고에 빠지면서 상대적으로 일본과 경쟁 분야가 겹치는 한국 기업들의 성장성, 향후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외국인들에게 더욱더 부각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둘째, 채무를 갚지 못해 발생된 두바이와 비교될 정도로, 11월 말 기준 국내 외환보유고는 2700억 달러를 넘어섰다. 다만, 달러가 약세를 보이고 있는 현 상황에서 외환보유고를 많이 보유하고 있다는 것은 리스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둬야 한다. 아무튼 안전자산을 넉넉히 보유하고 있다는 것은 여타 이머징 국가들 보다 비교우위에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

셋째, 출구전략 시점을 예상보다 늦출 수 있는 계기를 제공했다. 이번 사태는 앞으로도 잠재적 위험이 여전하다는 점을 시사하면서 잠재 위험에 대해 한 번 더 점검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

결과적으로 한 주 동안 급락과 급등을 겪으면서도 두바이 쇼크를 거뜬히 이겨낸 코스피의 체력을 보면 상승 추세가 이어갈 것이라는 의견은 변함이 없다.

<이 리포트는 하이리치에서 제공하는 것이므로 아시아경제신문의 기사 방향과는 무관함을 알려드립니다.>

김지은 기자 jeki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