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中企 69.1%, 한-EU FTA 대응전략 부재


[아시아경제 김대섭 기자] 수출 중소기업 10곳중 7곳은 한-EU 자유무역협정(FTA) 타결에도 대응전략을 수립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최근 수출 중소기업 319개(EU지역 161, EU외 지역 158)를 대상으로 실시한 '한-EU FTA와 수출中企 경쟁력 실태조사 결과, 절반이 넘는 69.1%가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불과 7.3%만이 '교역선(수출입) 변경을 계획하고 있다'고 응답해 FTA 활용 극대화를 위해선 상당기간 준비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EU의 환경규제(REACH 등) 강화가 어떤 형태로든 수출에 영향을 미친다는 응답이 '88.2%'에 달해 적절한 대처 방안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됐다.

교역선 변경 이유(복수응답)로는 '수출경쟁력 향상'(69.6%)과 '기술제휴 및 합작투자'(26.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변경하지 않는 이유로는 'EU지역내 네트워크 부재'(37.2%), '시장정보 부족'(28.9%), '시장개척 역량 및 경험부족'(24.0%) 등을 꼽았다.EU시장에서의 가장 중요한 경쟁요소(복수응답)는 '우수한 기술력'(41.6%), '고품질'(37.4%), '저렴한 가격'(27.9%)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자사의 경쟁력 수준(5점 척도)을 EU시장에 진출해 있는 국외 경쟁기업과 비교해 평가한 결과에 따르면 기술력 수준은 3.44로 6가지 평가요소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현지 유통망 활용능력 경쟁력 수준은 2.63으로 최하위를 차지, 6가지 경쟁요소중 가장 취약했다.

EU지역 수출시장에서 최대 경쟁국은 어디인가라는 질문에는 가장 많은 49.3%가 '중국'을 꼽았다. 다음으로 'EU지역내 회원국'(26.3%), '일본'(12.5%) 등의 순이었다.

한편, 최근 EU의 무역과 연계된 환경규제(REACH 등) 강화에 대해서는 2.1%만이 '내용을 잘 알고 있다'고 답했다. '전혀 모른다'는 업체도 12.7%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EU의 환경규제 강화에 대응한 정책 과제(복수응답)로는 '자금지원 확대'(79.2%), '환경규제에 관한 정보제공 강화'(47.5%), '전문 인력 지원'(29.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EU FTA 활용 극대화를 위한 정부의 최우선 과제로는 'EU시장 수출마케팅 지원'(56.8%)을 가장 많이 뽑았다. 'EU 환경규제 대응능력 지원'(53.2%), '원산지증명 프로그램 지원'(25.3%) 등이 뒤를 이었다.

김대섭 기자 joas11@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