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계의 삼성전자' 야심찬 행보

생명 · 증권 · 화재 등 해외공략 가속도

[아시아경제 김정민 기자]대한민국 경제영토, 칭기즈칸처럼 넓히고 유대인처럼 지켜라
제3부 영토확장 나선 기업들 <1> 삼성그룹

금융의 삼성전자를 꿈꾸다
현지화로 글로벌 시장 공략 삼성생명, 삼성증권, 삼성화재 등 삼성그룹을 지탱하는 또다른 한 축인 금융사들의 해외진출 또한 활발하다. 이들은 삼성전자가 일궈낸 '세계 1위'의 꿈을 금융분야에서 이뤄내겠다는 야심아래 한발씩 해외시장에서의 행보를 넓혀 나가고 있다.

특히 규제장벽이 높고 배타적인 금융업의 특성을 반영, 해외시장 진입 초기단계부터 현지인을 최고 책임자로 선임하는 등 글로벌 시장 공략에 '현지화 전략'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현지화로 금융규제 장벽 넘는다= 삼성그룹의 금융계열사중 가장 적극적인 해외시장 진출을 모색하는 곳이 삼성생명이다. 삼성생명이 성장 한계에 부딧친 국내 보험시장에서 탈피,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해외시장에 시선을 돌린 게 10여년전이다. 삼성생명은 미국과 영국에 투자법인을, 중국과 태국에는 2개의 합작법인을 각각 운영중이다. 미-영 투자법인은 해외 아웃소싱 투자전략 차원에서 100% 삼성생명 출자로 설립됐으며 중국과 태국은 현지 업체와 합작을 통한 생명보험 시장 진출을 위해 세워졌다.

삼성생명이 지난 97년 외환위기 직후 설립한 태국합작법인인 '시암삼성(자본금 1250만달러)는 철저한 현지화 전략을 통해 태국 보험시장에 안정적으로 뿌리를 내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시암삼성은 지난 2005년 흑자전환 한데 이어 2007년 225억원의 매출이 지난해에는 316억원으로 증가하는 등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005년 7월 중국의 항공회사인 '에어 차이나'와 5:5 비율로 투자해 설립한 '중항삼성(자본금 6700만달러)' 또한 지난해 불어닥친 글로벌 금융위기에도 불구, 2007년 54억원에 불과하던 매출이 283억원으로 증가하는 등 순항중이다.

중항삼성은 보험설계사를 통한 개인채널 판매에서 탈피, 단체와 방카슈랑스를 도입해 판매 채널을 다각화했고 상품도 무배당 보장성에서 배당상품과 투자연계형 상품으로 확대해 경쟁력을 높였다.

삼성생명 관계자는 "현지 직원들이 '삼성'의 간판아래서 일한다는데 대한 자부심을 가질 정도로 삼성의 인지도는 중국내에서 독보적"이라며 "해외시장 진출시 삼성의 브랜드를 적극 활용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삼성화재 또한 올해를 국제화 원년으로 선언한 뒤 적극적인 해외진출에 나서고 있다. 올 들어 2월에 중국법인 산하에 칭다오 지점을 설립한데 이어 4월에는 인도에 사무소를 개설했다. 지난 9월에는 국내 보험사중 처음으로 브라질에 사무소를 설치한데 이어 2000년 폐쇄했던 유럽법인을 재개설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삼성화재 관계자는 "중국, 베트남 등 잠재력을 지닌 신흥 경제시장에서의 수익원 창출을 위한 기반 확대도 검토 중"이라며 "안정적 리스크 관리 및 선진화된 경영 기법을 활용한 현지 경영으로 해외시장에서 교두보를 확보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아시아 일등이 세계 최고'=지난 9월, 글로벌 금융위기로 전세계 금융시장이 움추려든 시기에 삼성증권은 과감히 국제 IB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홍콩의 금융 중심가인 '트리 익스체인지 스퀘어 빌딩'에 현지법인을 설립하며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 것.

삼성증권은 홍콩 IB사업을 시작으로 2015년까지 중국, 싱가폴, 대만, 인도 등 아시아 전역으로 사업 거점을 확대해 오는 2020년에는 세계 10위권내에 진입한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우고 있다.

특히 홍콩법인은 아시아 최대의 경제대국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시장 공략을 위한 전초기지 역할을 맡고 있다. 삼성증권은 조인트벤처를 통해 현지에 진출한다는 방침아래 현재 파트너를 물색중이다.

삼성증권 또한 해외시장 공략을 위해 현지화 전략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홍콩법인의 주요 사업부문 책임자는 크레딧스위스, 도이치뱅크, 맥쿼리, 모건 스탠리 등 글로벌 투자은행에서 경험을 쌓은 전문가들로 세계적 금융허브인 홍콩 현지에서도 손꼽히는 우수한 인재들이다.

'글로벌 톱 10'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 삼성증권은 '자체 성장'과 '인수합병(M&A)'를 적절히 결합, 빠른 시일내에 메이저 플레이어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한다는 전략이다.

일본, 홍콩 등 금융중심지는 물론 동남아와 중국 시장 등 신흥시장 진출시 현지의 중소형 로컬 증권사를 인수해 규모확대와 현지화라는 두마리 토끼를 모두 잡겠다는 것.

박준현 삼성증권 사장은 "서구사회가 경제 중심지로 부상하면서 이를 무대로 한 IB가 글로벌 IB로 부상했다"며 "앞으로는 아시아시장의 지역 플레이어가 글로벌 플레이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민 기자 jmki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