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산업 '뛰어넘기 전략' 필요<삼성硏>

[아시아경제 박충훈 기자] 국내 바이오산업은 선진국과 큰 격차가 있으므로 단순히 '따라잡기(Catch-up) 전략'으로는 산업의 주도권 확보가 불가능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삼성경제연구소는 18일 '한국이 주목해야 할 차세대 바이오사업'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바이오산업도 반도체.조선.휴대폰 등 우리나라 세계 1위 산업들과 같이 '뛰어넘기 전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보고서는 신규 진입 기회와 연관 기술역량 유무를 판단해 ▲바이오시밀러 ▲해양조류 바이오연료 ▲진단기기 ▲분자농업 ▲바이오케미컬 등 5대유망 사업을 선정했다.

바이오시밀러는 특허가 만료된 뒤 바이오신약과 동일한 성분 및 효능을 갖도록 만든 복제의약품이다. 한국기업의 축적된 제품생산역량을 활용하여 진입할 수 있는 분야이며, 중장기적으로는 바이오시밀러 사업에서 축적한 역량을 바이오신약 개발로 연결할 수 있다.

해양조류 바이오연료는 식물성 플랑크톤 등 조류를 원료로 생산하는 바이오디젤 및 바이오에탄올을 말한다. 기존 옥수수 등 곡류를 원료로 생산하는 방식보다 환경친화적이고 부지제약이 적어, 국토가 좁고 삼면이 바다인 한국에 적합하다.대형의 임상실험실용 진단기기를 소형으로 구현한 POC 진단기기는 유헬스가 확대되면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한국이 강점을 지닌 반도체 제조기술, IT 기술 등과의 융합이 가능한 사업이다.

분자농업은 유전자조작 식물로부터 백신 등의 유용물질을 생산하는 기술로, IT·제어 기술을 활용한 식물공장과 연계하면 제조업형 고부가 농업 육성이 가능하다.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생산하는 바이오케미컬은 석유를 사용하지 않고 친환경 공법을 활용하는 석유화학소재의 대체 소재이다. 미생물 발효기술, 화학공정 운영역량 등을 갖춘 한국은 가격경쟁력을 갖춘 차별화된 제품개발 등을 통해 미래시장을 선점하여 유망분야로 육성할 수 있다.

보고서는 바이오시대의 도래는 피할 수 없는 대세이며 바이오기술 없이는 선진국이 될 수 없다며 정부가 R&D 및 각종 지원정책을 강화할 것을 주문했다. 기업 역시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오픈 이노베이션을 적극 추진하고, 기존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신사업 기회를 적극 발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충훈 기자 parkjovi@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