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문화재연구소, 40주년 기념 행사 개최

국립문화재연구소 전경";$size="550,200,0";$no="2009111608015064869_1.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아시아경제 강승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개소 40주년을 맞아 오는 17일 기념행사를 개최한다.

대전시 유성구 대덕연구단지내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열리는 이날 행사는 문화재청장, 전·현직연구소장과 직원 등 300여 명이 참석한다.이날 준공식을 갖는 ‘청풍각’은 전통목조건축 구조성능, 주거환경, 재료 등에 관한 연구의 테스트베드(Test Bed) 역할을 하면서 담양 소쇄원 광풍각의 완벽한 재현으로 연구 진정성을 높이는 한편, 또 다른 명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개소 40주년 기념행사의 일환으로 일본·중국·몽골·러시아의 8개 문화재 연구기관이 참여한 ‘동아시아 문화유산 포럼’과 ‘조선왕릉 학술심포지엄’, ‘중원문화권 고분의 전개양상과 성격 심포지엄’, ‘명승 국제학술심포지엄’, ‘무형문화재 사진전’ 등 다채로운 행사를 열린 바 있다.

오는 12월에는 ‘제1회 한·중·일 건축문화유산 보존 국제학술심포지엄’을 개최할 예정이다.1969년 문화재관리국 내 문화재연구실로 발족한 국립문화재연구소는 고고, 미술, 건축, 무형, 자연(천연기념물) 문화재 분야와 이의 보존과 복원을 담당하는 부서가 함께 어우러진 국내 유일의 문화유산관련 종합연구기관으로, 분야별 학제간 연구(學際間硏究)가 가능하여 다양하고 폭넓은 연구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문화권별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5개 지방연구소를 두고 각 지역 문화유산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시행해오고 있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과거 천마총, 황남대총, 풍납토성 등 국내 주요 유적지들의 발굴조사와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올해 초에는 익산 미륵사지 사리장엄 발견을 통해 백제사 연구에 큰 획을 긋기도 했다.

더불어 해외유적조사, 국외소재 한국문화재 조사, 무형문화재 기록화 사업, 천연기념물 연구와 보존과학센터 운영을 통한 문화재의 보존, 복원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며 아시아를 대상으로 한 국제연수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향후 국립문화재연구소는 국가 중추적 문화재 연구기관으로서 개소 40주년을 새로운 도약의 계기로 삼아, 과거의 성과를 되돌아보고 앞으로 국내뿐 아니라 세계적인 문화유산 연구의 중심기관으로 자리매김해 나갈 계획이다.

강승훈 기자 tarophine@asiae.co.kr
<ⓒ아시아경제 & 스투닷컴(stoo.com)이 만드는 온오프라인 연예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