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자동차 '빅3' 전기차 놓고 '동상이몽'

도요타ㆍ혼다 '플러그 인 하이브리차', 닛산 '완전한 전기차' 개발 박차

[아시아경제 조해수 기자]차세대 자동차 시장을 이끌 그린카에 대한 경쟁에 본격화 되고 있는 가운데, 일본차 빅3가 그린카에 대한 서로 다른 청사진을 내놓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22일 미래 전기차에 대해 도요타와 혼다는 가솔린-전기 하이브리드의 발전된 모습을 지향하고 있고, 닛산은 전기로만 달리는 순수한 전기차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도요타는 지난 21일 도쿄 모터쇼 개막식에서 프리우스의 차세대 모델인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 차'를 선보였다. 아키오 도요타 회장은 이자리에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는 배터리의 잔존량이 얼마인지 근처에 충전 가능한 시설이 있는지에 대한 걱정 없이 운전할 수 있는 차'라고 소개하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는 가까운 미래에 상용 가능할 정도로 발전된 모델이라고 생각 한다"고 밝혔다.

다케시 우치야마다 도요타 부회장 역시 "가솔린-전기차 하이브리드 카는 2020이 되면 도요타의 글로벌 매출의 30%를 차지할 것"이라며 하이브리드 차에 대한 기대를 숨기지 않았다.

경쟁사인 혼다도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기술을 추구하고 있다. 이 차량은 전기 소켓을 통해 충전할 수 있고 전기 배터리만으로도 수 마일을 운전할 수 있다. 물론 현존하는 하이브리드처럼 내부에 배터리를 충전하는 가솔린 엔진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차량은 가솔린과 내부적으로 발생하는 전기의 조합으로 작동돼 순수한 전기 배터리만으로는 짧은 거리밖에 여행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반면 닛산은 순수한 전기차를 자동차 시장의 미래라고 생각하고 있다. 이번 도쿄 모터쇼에서는 혼다의 '복시 EV-N', 도요타의 'FT-EV 2', 닛산의 '랜드 글라이더' 등의 다양한 전기차들이 소개됐지만 오직 닛산만이 하이브리드 차량과 같은 방식이 아닌 배터리만으로도 멀리 여행할 수 있는 순수 전기차에 대한 강한 신뢰를 나타냈다.

닛산의 카를로스 곤 회장은 4세대 배터리 콘셉트 카인 '랜드 글라이더'를 소개하는 자리에서 “닛산이 하이브리드 밴드 웨건 분야에서 도약하기에는 이미 늦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우리의 기술력으로 만든 순수 전기차에 역량을 집중해 이 분야의 강자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닛산은 아직 리프의 비지니스 모델은 출시하지 않았다. 대신 여전히 비싼 구입 비용에 대한 부담감을 해소하기 위해 고객에게 일정한 사용료를 받고 배터리를 대여해 주는 방법을 강구 중이다.

도요타 관계자는 "2012년 전 세계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는 리프를 론칭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도움이 절실하다"며 "정부의 지원을 받는다면 3~4년 안에 '규모의 경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고 말했다.

조해수 기자 chs900@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