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自保시장 10.4조...OECD 국가 중 9위

보험개발원 10년간 자동차보험 실적 분석 발표
10년전 대비 2배 성장...대당보험료는 35% 증가에 그쳐
미국 224조규모 1위...OECD국가 중 9위 기록돼



국내 자동차보험시장이 10조 4000억원으로 10년전 대비 2배 성장한 것으로 조사됐다.이는 OECD국가 중 9번째 규모다. 하지만 10년전 보다 대당 보험료 규모는 65만원으로 35% 증가하는 데 그쳤다.

보험개발원은 9일 지난 10년간(FY'99~FY'08) 자동차보험 실적을 조사한 결과, 국내 자동차보험시장은 지난 10년간 2배 성장(연평균 7.9%), OECD국가중 9번째로 큰 시장이라고 밝혔다.

또한 차량 1대당보험료는 10년전에 비하여 약 35% 증가한 65만원에 불과 주요국 평균 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10년간 수입보험료 규모는 1999회계연도에서 2003회계연도 5년간은 연평균 9.7%증가했으나 2004회계연도에서 지난 회계연도 5년간은 다소 낮아진 6.5%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 처럼 최근 10년간 수입보험료가 증가한 원인은 자동차등록대수 증가, 보험가입율 향상, 물적담보 가입금액 증가 등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됐다.

세계 자동차보험 규모순은 미국이 244조원을 기록,가장 큰 시장을 형성했으며 이어 일본이 37.2조원으로 두번째로 큰 시장을 형성했다. 이어 이탈리아, 독일, 영국, 프랑스, 스페인, 캐나다 순이었다.

국내 자동차보험시장은 14조 2000억원으로 OECD국가중 9번째로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대물과 차량 등 물적담보규모는 연평균 17.8%씩 성장 지난 회계연도에 5조원을 기록해 연평균 2.4% 성장에 그쳐 4조 9000억원에 그친 인적담보(대인·자손) 규모를 추월했다.

물적담보 규모는 지난 1999회계연도부터 2003회계연도 5년동안 평균 27.6%씩 큰 폭 성장해 온데 이어 2004회계연도에서 2008회계연도 5년동안은 평균 10.3%씩 성장했다.

이 처럼 물적담보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한 원인은 물적담보 가입율 향상과 차량의 고급화와 대형화 그리고 이에 따른 가입금액 고액화 경향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차량 1대당 보험료는 지난 10년간 연평균 3.4%씩 증가,10년전에 비해 불과 1.35배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는 담보별 가입율이 높아지고, 대물가입금액 및 차량가액이 증가했음에도 차량 1대당 보험료증가가 물가상승율(연평균 3.1%) 수준에 머물게 이유는 상대적으로 보험료가 저렴(10~15%)한 온라인상품의 판매가 증가했고, 요율세분화를 통한 맞춤형상품이 증가한데 따른 것으로 풀이됐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차량1대당 보험료는 65만 1000원으로 조사, 주요국의 평균보험료보다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고 개발원은 설명했다.

주요국의 1대당 평균보험료를 추정한 결과 유럽 및 미국등 주요국 보험료수준이 대부분 100만원을 상회했다고 밝혔다.


김양규 기자 kyk7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