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대란] 200억원 투자 등 사이버테러 대응 '적극'

청와대가 사이버테러 방지 장비 구매를 위해 약 200억원 규모의 관련 예산을 추가배정하는 등 후속조치가 이어지면서 정부의 대응책 마련이 가시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박재완 청와대 국정기획수석은 10일 한 라디오 시사프로그램에 출연, 디도스 공격과 관련해 "핵심 공공기관의 경우 트래픽 분산을 위한 장비를 구매하기 위해서 약 200억원의 예산을 추가배정했다"고 밝혔다. 박 수석은 이어 "정부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대응 태세를 완벽하게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한국에서 디도스 공격이 연간 30∼40차례 있었으나 이번에는 동시다발적으로, 체계적으로, 조직적으로 공격이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사이버테러의 배후에 북한 추종세력이 있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서는 "여러 보안상의 이유가 있어 아직 근거를 제시하지 않은 것으로 안다"면서 "여러가지 조사를 하고 있으므로 그런 결과가 나오면 진위 여부가 밝혀질 것"이라고 말했다.

여당의 대응책 마련도 분주하다. 한나라당은 다음주 내로 '사이버테러 태스크포스(TF)'와 당 '미래위기대응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사이버테러에 대한 근본적 방지책과 대응책을 모색할 것으로 알려졌다. 조윤선 대변인은 전날 브리핑에서 "사이버테러TF는 해당기관은 물론 민·관·군이 합동으로 대처하는 방안을 논의하는 한편 당정을 통해 대책 마련에 나서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세계 최고의 IT강국'을 훈장처럼 자랑해왔던 대한민국이 사이버테러 앞에 무기력하게 당하는 모습이 연출되면서 관련 대응책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높은 인터넷 보급률과 활용도에 비해 이 같은 사이버테러에 대한 대응능력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지난 9일 안철수 카이스트 교수는 "보안 사고의 패러다임이 특정 국가나 단체 공격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우리나라 자체적으로 대응능력을 길러야 한다"면서 "국가 안보를 용병에 맡길 수 없듯이 자국의 기술과 전문 인력을 키워 사명감을 갖고 사이버 안보를 책임질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미국과 일본과 같은 선진국은 10년 전부터 전체 예산의 10% 정도를 보안에 투자하고 있으며, 오바마 정부에서는 일찍부터 사이버 안전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대통령 주도 하에 지난 5월부터 여러 가지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면서 "이에 반해 우리나라는 전체 예산의 1% 정도만 쓰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세계에서 가장 피해가 큰 나라가 되었지만 사고가 일어난 후에도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않고 있고 그러는 사이 전국민의 개인정보 유출 사태는 지금도 지속적으로 벌어지고 있다"면서 "이번 사태는 대책 없이 있다가 결국 본보기로 당하게 된 것"이라고 꼬집었다.

김현정 기자 alphag@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