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조달사업 지난해 2배, 29조7614억원 집행

조달청, “중소기업 판로 확보, 유동성 지원 등 경제 활성화 한몫”

올 상반기 중 펼쳐진 조달사업금액이 지난해의 두 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달청은 2일 정부대전청사 기자실에서 가진 브리핑을 통해 “올 들어 6월말까지 한 조달사업은 지난해 실적(15조1520억 원)의 약 2배인 29조7614억 원에 이른다”고 발표했다.

이는 상반기 조달사업 조기집행 목표액(24조8000억 원)의 20%를 넘어선 것으로 중소기업 들의 판로와 유동성 확보에 크게 도움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시설공사의 경우 정부의 대형 SOC(사회간접자본)사업발주가 활발해 지난해 같은 기간(8조6539억원)보다 109.7%가 는 18조1486억 원을 집행했다.

금강 살리기 ‘행복지구’ 생태하천조성사업(1864억 원)은 당초 올 11월 계약 및 착공예정이었으나 조달청의 조기계약과 국토해양부의 빠른 착공으로 지난 5월부터 공사에 들어갔다.

물품구매는 ‘나라장터’ 종합쇼핑몰에서 살 수 있는 단가계약물품 공급실적이 불어나 지난해 같은 기간(6조4981억 원)보다 78.7%가 는 11조6128억 원어치가 이뤄졌다.

긴급성이 높은 신종 플루 항바이러스제(타미플루, 리렌자 등 625억원), 해양경찰 경비선(1499억원) 등 빠른 계약체결도 조달사업에 보탬이 됐다.

이에 따라 계약대금 등의 돈이 시장에 풀리고 조달업체는 30조원 상당의 판로를 확보, 안정적인 생산 활동과 일자리 유지·창출에 도움이 된 것으로 분석됐다.

조달청은 조달사업의 빠른 집행을 위해 공공기관 및 조달업체와의 협력관계를 강화, 업무흐름을 좋게 했다.

‘공공기관 발주지원팀’ 운영 및 고객간담회를 통해 발주기관과 조달업체의 애로점을 현장에서 해결했다.

발주지원팀은 705개 기관에 876회를 방문했고 공공기관 및 조달업체 간담회도 190회(5779명 참석) 열어 현장의 목소리를 들었다.

국가계약법령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긴급’ 입찰공고 활용과 가격조사 및 원가검토 기간 등도 크게 줄였다.

방안으로 △물품구매(15~36일→13~34일) △공사계약(24~95일→12~45일) △총사업비 검토(30일→10일) △설계검토(30일→7일) 등의 기일을 줄인 게 사례들이다.

공공기관이 필요한 물품을 곧바로 살 수 있도록 단가계약품목 역시 크게 늘렸다.

올 상반기 중 1만4962품목을 새로 계약(지난해 26만4877개→올 6월 27만9839개) 했다.

납품대금지급 등을 통한 직접적인 유동성 공급은 물론 조달청 계약서를 활용한 금융대출, 보증완화 등 간접금융지원도 강화했다.

조달기업이 조달청 계약서만으로 금융대출이 이뤄지도록 ‘네트워크론’ 대상을 늘렸다.

한편 조달청은 추경예산, 4대 강 살리기 사업 등이 차질 없이 추진돼 실질적인 정책효과가 나타나도록 할 방침이다.

특히 이달부터 시행 되는 ‘4대 강 살리기 사업’을 보다 빠르고, 예산낭비 없이, 녹색기술로 펼친다.

정부구매력을 활용, 하이브리드카(그린 카) 등 녹색제품의 공공구매 확대에 행정력을 쏟을 계획이다.

민형종 조달청 기획조정관은 “상반기 조달사업 조기집행이 중소기업 판로 확보 및 유동성 지원이란 성과를 달성했다”면서 “하반기에도 4대 강 살리기 사업, 추경예산 등의 원활한 재정집행을 앞서 이끌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