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미니버블 붕괴 조짐.. 땅값 4년만에 하락

지난해까지 가파르게 상승곡선을 그리던 일본 주요지역의 부동산 가격이 4년 만에 하락, '미니버블'이 붕괴되는 양상이다.

일본 국세청이 1일 발표한 바에 따르면 전국 37만 지점의 평균 노선가는 13만7000엔(약 179만원)으로 전년에 비해 5.5% 하락했다. 전국의 주요 도로에 접한 토지의 1㎡당 평가액을 산정하는 노선가는 상속세나 증여세의 산정 기준이 된다.

일본의 행정구역 단위인 도도부현(都道府縣) 별로 노선가가 상승한 도시는 한 곳도 없었던 반면 하락한 도시는 전년의 3배 이상인 39개 도시로 늘었다.

최근 '미니버블'을 부추겨온 도쿄도(東京都)의 경우, 노선가는 전년 대비 17.4%나 치솟았던 지난해에 비해 7.4% 떨어지면서 5년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이외에 후쿠오카(福岡), 지바(千葉), 요코하마(橫浜)의 하락률은 10%를 넘었고, 5~10%의 하락률을 보인 도시는 삿포로(札幌), 오사카(大阪), 센다이(仙台) 등 11개 도시에 달했다. 낙폭이 가장 컸던 지역은 후쿠오카(福岡, 8.6%)에 이어 도쿄(東京, 7.4%), 이와테(7.3%), 미야기(6.8%) 순이었다.

대도시별 노선가는 지난해까지 3년 연속 상승세를 유지해오던 3대도시권이 모두 하락했다. 특히 지난해 10% 이상의 높은 성장세를 보였던 도쿄권(東京圈)과 나고야권(名古屋圈)은 6% 이상의 하락률을 기록했으며, 지난해 제자리걸음이었던 지역들도 4% 가까이 떨어졌다.

한편 일본에서 노선가가 가장 높은 지점인 도쿄도 주오(中央)구의 긴자주오도리(銀座中央通)의 노선가는 3120만엔으로 10년 만에 하락했지만 2% 내리는데 그치는 등 원래 노선가가 높았던 상업지구의 낙폭은 비교적 적었다는 지적이다.

미즈호 증권의 이시자와 다쿠시(石澤卓志) 수석 부동산 애널리스트는 "도쿄권, 나고야권에서 노선가가 크게 떨어진 곳은 최근 몇 년간 부동산 투기과열지역이었다"며 "이 때문에 부동산 투자가 감소하면서 지가도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최근 부동산 가격이 과대평가돼 원래대로 돌아온 것 뿐"이라고 덧붙였다.

배수경 기자 sue6870@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