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파구, 오존경보제 실시

5~9월 15일 구청 환경과에 오존상황실 설치

오존층에 구멍이 난 남극바다에서는 플랑크톤이 8분의 1로 줄어들었다.

또 사람들도 병에 대한 면역력 감소, 백내장, 피부암 등이 증가하고 있다.

송파구(구청장 김영순)가 이런 오존층 피해를 막기 위해 5월부터 9월15일까지 구청 환경과에 오존상황실을 설치하고 오존경보제를 실시한다.

대기 중 오존농도가 일정 기준 이상 높게 나타나면 주민과 유관기관, 다중이용시설에 경보상황과 주민행동요령을 신속히 전파, 주민들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것이다.

오존상황실은 대기 중 오존 농도를 3단계로 구분, 오존농도가 환경기준(0.10ppm, 1시간 평균치)를 초과해 0.12ppm/h 이상이면 오존주의보, 0.30ppm/h 이상이면 오존경보, 가장 심각한 수준인 0.5ppm/h 이상일 땐 오존중대경보를 발령한다.

또 오존 농도를 저감하기 위한 각종 대책을 수립하고 오존오염물질 배출업소에 대해서는 감축조치를 취해 구멍 난 오존층 크기를 줄여줄 계획이다.

특히 오존에 대한 주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주말과 공휴일에도 비상 근무조를 편성해 운영하기로 했다.

이성돌 환경과장은 “오존에 반복 노출되면 호흡기 등에 많은 영향을 끼치므로 오존농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외출을 자제해야 한다”며 “오존경보제는 호흡기환자와 노약자, 유아, 여성 등 대기오염에 특히 취약한 계층이 고농도 오존으로 인한 건강피해에 대비할 수 있는 최선책”이라고 전했다.

한편 오존은 바람이 불지 않고 햇빛이 강한 오후시간(2~3시)대에 대기오염물질(질소산화물,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이 강한 태양광선으로 인해 화학반응을 일으켜서 생성된다.

박종일 기자 dream@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