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구 'U시티' 된다

광대역 자가통신망 구축해 인터넷 파크 21곳 조성

마포구의 발전이 눈부시다.

마포구(구청장 신영섭)가 장소에 상관 없이 네크워크 접속이 가능한 광대역 자가 통신망을 구축, 유비쿼터스(Ubiquitous) 명품 도시로의 도약을 꽤하고 있다.

‘광대역 통신망’ 은 유비쿼터스 환경의 핵심 기술로 통신·방송·인터넷 등 통합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안전하게 제공하는 통합 네트워크를 말한다.

완성되면 빠른 인터넷 속도 뿐 아니라 통신·방송 서비스의 질도 크게 개선된다.

마포구는 사업비 24억원을 들여 지난해 11월부터 6개월 간 지역내 지하철 2, 5, 6호선 노선 23km구간과 지상부 89km(굴착 3.7km 포함) 등 총 길이 112Km 구간에 초고속 광케이블을 설치했다.

구는 본청을 기점으로 동 주민센터, 자치회관, 사업소, 마포문화센터 등 34개 행정기관과 공공시설을 3개 권역으로 나눴다.

3개 권역으로 나눠진 행정기관들을 초고속 광케이블로 연결하고 네트워크 장비 212대, 무선장치(AP) 30대, 인증서버 1식 등 최신 통신장비를 설치해 112km의 구간에 ‘광대역 자가 통신망’을 구축 완료했다.

마포구는 행정망 34개 소, 유·무선 인터넷망 56개 소, CCTV망 196개 소, IP-TV 36개 소, 월드컵경기장 주변 조망명소 실시간 영상 서비스 1개 소 등 총 323개 소 광대역 자가 통신망 시스템을 구축하고 15일 구청 대강당에서 주민 등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통식도 가졌다.

마포구는 공공 기관의 통신망을 광대역 자가 통신망으로 대체해 기관 간 정보통신 대역폭이 2Mbps→1000Mbps로 늘어나 정보통신 속도가 500배나 빨라졌다.

이를 통해 어르신 인터넷교육과, U-헬스케어, 원격 동영상 민원처리시스템과 같은 온라인 행정서비스가 대폭 빨라지게 돼 주민들은 더욱 향상된 원격 시스템을 통해 구청이나 보건소를 방문하지 않고도 실시간 민원처리와 건강상태 등을 체크 할 수 있게 됐다.

구는 광대역 자가 통신망 구축으로 전용회선 임대료 등 매년 5억원의 예산을 절감할 수 있게 됐으며 절감된 예산은 복지 분야 등 꼭 필요한 사업에 재투자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자가 통신망 구축으로 시·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인터넷 파크 (Internet Park)’도 조성됐다.

구 청사를 비롯해 15개 동 주민센터, 1개 자치회관, 마포문화센터, 홍대앞 걷고 싶은 거리, 피카소 거리, 홍익어린이공원 등 총 21개소에 무선 인터넷 존(Zone)인 ‘인터넷 파크 (Internet Park)’을 만들었다.

특히 구청을 방문한 민원인은 구청 광장과 민원실에서 무선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이용방법은 무선랜 카드가 장착된 노트북이나 휴대용단말기(PDA)로 인터넷을 접속해 무선네트워크 보기에서 u-Mapo를 선택 하면 된다.

신영섭 마포구청장은 “이번 자가 통신망 구축으로 전자 구정 수립에 한걸음 다가갔다”며 “앞으로 대민 행정서비스 향상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 개발을 통해 유비쿼터스 행정을 선도할 수 있도록 노력 하겠다”고 말했다.

무선 인터넷 사용 등 자세한 내용은 마포구청 전산정보과(3153-8400)로 문의하면 된다.

박종일 기자 dream@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