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김정일 '세계 10대 독재자' 중 3위

북한의 김정일(67) 국방위원장이 워싱턴 포스트가 선정해 21일 발표한 '세계 최악의 10대 독재자' 리스트에서 3위에 올랐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1위에서 올해 올해는 3위로 순위가 낮춰졌다.

김 위원장의 건강이 뇌졸중으로 악화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북한은 세계에서 가장 억압적인 체제를 갖고 있다고 포스트는 지적했다.

올해 1위에는 짐바브웨의 로버트 무가베(85) 대통령이 선정됐다. 지난해 6위에서 올해 1위라는 오명을 안게 된 것이다. 그는 1987년 집권 이래 철권통치를 자행해왔다.

그 결과 실업률이 85%까지 치솟고 극심한 인플레로 지난 1월 500억짐바브웨달러까지 발행됐다. 설상가상으로 지난해 8월 이후 창궐하기 시작한 콜레라로 지금까지 3800여명이 사망했다.

오마르 알 바시르(65) 수단 대통령이 올해로 2년 연속 2위를 고수했다. 바시르 대통령은 다르푸르 대학살을 주도한 장본인이다.

4위에는 미얀마 군정 최고 지도자인 탄 슈웨(76)가 꼽혔다. 지난해 5월 사이클론 나르기스로 사망자 및 실종자 14만명, 이재민 200만명 이상 발생했으나 탄 슈웨는 피해지역에 구호단체의 접근을 지연시켜 국제사회로부터 지탄 받았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압둘라(85) 국왕이 올해 5위에 선정됐다. 여성에 대한 극심한 차별이 선정 이유다.

6위는 후진타오(66) 중국 국가주석이 차지했다. 언론ㆍ종교의 자유를 제한하고 티베트 등 소수민족을 탄압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어 7~10위에는 세이드 알리 하메네이(69) 이란 최고 지도자, 에리트리아의 이사야스 아페워키(63) 대통령,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51) 투르크메니스탄 대통령, 무아마르 카다피(66) 리비아 국가원수가 각각 선정됐다.

포스트의 주말 매거진 '퍼레이드'는 인권, 통치에 따른 주민의 고통 수준, 절대권력 수준 등으로 해마다 10대 독재자를 선정ㆍ발표하고 있다.

이진수 기자 commun@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