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 틈새시장 잡아라

중소벤처사 소형공기청정기 · 마스크 등 신제품 속속 출시

 
중국발 최악의 황사가 또 다시 우리나라 봄 하늘을 강타할 태세다. 주로 봄철에 중국과 몽골의 사막으로부터 날아오는 황사는 우리나라 국민건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쳐 그 사회적 비용만도 연간 5조 9000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 마스크 등 황사피해 예방 공기정화 제품의 매출이 벌써부터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중소벤처기업들도 신제품을 잇따라 내놓으며 대기업 제품 틈바구니에서 '황사 특수'를 준비하고 있다.
 
2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가정용 공기 청정기업체인 에어비타의 올 1,2월 매출은 전년동월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생산라인을 풀 가동해도 주문을 맞추기 어려운 상태라고 전한다. 에어비타 제품은 고분자 진공코팅을 통해 방수기능을 갖춰 욕실 등 수분이 많은 곳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신제품 '에어비타 네오 1.5'의 경우 음이온과 오존을 선택적으로 발생케 해 살균 탈취효과 뿐 아니라 간접조명등을 제품에 부착해 인테리어 효과까지 누릴 수 있다.
 
에어비타 이길순 대표는 "여성 대상 라디오 프로그램에 광고를 내보내는 등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는 동시에 소형이면서 저렴한 가격으로 가족의 건강을 지킬 수 있다는 식으로 소비자의 구매심리를 자극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지코아이엔씨는 황사마스크 '숨트리'로 황사 특수를 기대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새로운 규격에 맞춰 개발된 '숨트리'는 순면 100%를 사용했고, 코 부분에 고정심을 내장하여 흘러내림 및 안경의 김서림을 방지한게 특징. 또 일명 '찍찍이'라 불리는 벨크로 테이프와 귀걸이 끈을 사용해 착용감을 한층 높였다. 회사 측은 "대형 마트를 통한 묶음 할인 등의 방식으로 매출신장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가정용 의료기기 등을 만드는 솔고바이오는 황사 악화에 따라 공기청정기 등 가정용 헬스케어 제품의 매출 비중이 현재 전체 매출의 30%(100억원 정도)보다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회사가 최근 출시한 '뉴 풍경소리' 공기청정기는 12단계의 공기청정 시스템을 갖추고 플라스마 칩을 내장해 기존 방식보다 훨씬 나은 정화력을 가진다. 또 백금나노필터가 들어있어 99.9%의 탈취 효과가 있어 매출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솔고바이오는 지난 2003년 사스(SARS)가 국내에 상륙했을 때부터 공기청정기를 판매해 히트를 친 바 있다.

관련업계 관계자는 "중국에서 건너온 황사는 시간당 미세먼지 농도가 이전의 400㎍/㎥에서 최근에는 1000㎍/㎥ 이상으로 늘어나 예년보다 더 큰 피해가 예상된다"며 "공기청정기의 경우 설치장소와 대상을 잘 고려해 제품을 구매해야 하며 필터 교환, 청소가 불편하진 않은지 등도 꼼꼼하게 체크해야한다"고 말했다.

박충훈 기자 parkjovi@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