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희의 마케팅 스쿨] 글로벌 시대의 프랜차이즈

1990년대 이후는 국내 프랜차이즈 산업이 양적으로 팽창하던 시기였다. 이 무렵 많은 프랜차이즈 사업가들이 앞다퉈 일본이나 미국의 프랜차이즈 사업을 국내에 도입했다.

외국에서 도입된 사업들은 늘 '유망' 이나 '선진'이라는 꼬리표를 달고 해외물을 먹었다는 점을 자랑으로 여겼다. 외국의 유망사업을 소개하는 단행본들이 잇달아 출간되고 불티나게 팔린 것도 이 무렵이었다.

하지만 이것도 잠깐. 어느새 뉴 비즈니스를 꿈꾸는 사업가들은 더 이상 해외 유망사업을 소개한 단행본을 뒤적이지 않아도 됐다. 벤치마킹을 위해 외국을 둘러보기는 했지만 전적으로 해외 유망사업에 무임승차하려는 의존적인 사고를 하지 않게 된 것이다.

1990년대 중반 이전 만해도 우리는 늘 외국의 프랜차이즈업체들과 견주며 우리의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가늠해야 했다. 또 외국서적을 뒤적이면서 한국에 들여올 사업이 있는지를 궁리하곤 했다.

하지만 이제 많은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우리의 수준이 세계의 수준이라는 자부심을 갖고 국내는 물론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다. 특히 동남아시장에는 이미 상당수의 프랜차이즈사업 모델을 수출하고 있다.

프랜차이즈 사업은 한마디로 장사의 구조를 판매하는 사업이다. 돈이 벌리는 장사의 모양을 만들어놓고 그 안에 필요한 상품과 기계, 설비를 공급하고 운영 노하우까지 제공해주는 사업이다.

현재 국내 프랜차이즈업체의 해외진출이 활발해지고 있다고는 하지만 영세한 업체들에게 쉬운 일이 아니다. 국내 프랜차이즈사업의 해외수출 역군은 바로 해외에 거주하는 우리 교포들이다. 프랜차이즈 사업은 적은 규모로 손쉽게 시작할 수 있어 마땅한 비즈니스를 찾지 못하고 있는 교포들에게는 구세주와 같은 존재이다.

이들은 국내 인터넷 사이트를 검색해 업체들에게 제의를 해온다. 이렇게 세계 각국에 흩어져 있는 우리 교포망을 잘 활용한다면 프랜차이즈 수출의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할 수 있고, 교포들이 국내 산업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시장 범위를 해외로 넓히려면 많은 프랜차이즈업체들이 뼈를 깎는 아픔을 이겨내고 거듭 나야만 한다. 국내 프랜차이즈업체들은 아직도 연구개발이나 점포 관리(슈퍼바이징)보다는 가맹점의 창업 지원업무에 치우쳐 있다.

이런 시스템으로는 유통 이익이나 로열티 같은 지속적인 이익 발생을 기대할 수 없다. 뜨거운 성장 의지를 바탕으로 하는 연구개발 노력 없이는 국내에서든 해외에서든 스스로 단명을 자초할 뿐이다. 이렇게 되면 외국에 나가서도 이미지만 나빠진다.

프랜차이즈 업계는 불황일수록 뼈를 깎는 혁신경영을 통해 해외로 적극 눈을 돌리고 좁은 국내시장의 '이전투구식' 경쟁에서 벗어나 세계로 도약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한국창업전략연구소장 okceo@changupok.com

김대섭 기자 joas11@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