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조선사 늑장 대금 지급...中企 '허덕'

-공정위, 밀린 하도급대금 지급 조치액...전년대비 6배 급증
-조선사 선박제조 위탁 미지급금 61%달해


대형조선사들이 하도급대금 지급을 미뤄 그렇지 않아도 허덕이는 중소 납품업체들의 자금난을 가중시키는 것으로 조사됐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8일 설을 앞두고 중소 납품업체가 받지 못한 하도급대금 117억원을 적기에 지급하도록 조치했으며, 이 가운데 선박제조 위탁 미지급 하도급대금이 전체의 61%(71억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대형조선사들의 늑장 대금 지급으로 인해 공정위가 올해 지급 조치한 금액은 전년(19억9000만원)대비 6배나 폭증했다. 지급건수는 21건으로 전년(20건)과 비슷했다.

공정위에 따르면 대형조선사인 A사는 B사에게 선박을 제조 위탁했지만 68억4300만원에 달하는 하도급대금을 주지 않았다. 또 대형사인 C사는 D사에게 대형 크레인 제조를 위탁하고 하도급대금 21억4300만원을 미지급했다.

앞서 공정위가 지난 15일 발표한 '2007년 조선, 화학업종의 하도급 공정성 평가'에서도 대형조선사들은 B학점(81.4점)을 준 반면 중소 납품업체들은 D학점(64.9점)으로 낙제점을 준 바 있다.

대형조선사들도 전대미문의 세계 경기 침체로 인해 자금조달, 융통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대형 조선 3사의 지난 3분기 영업이익률은 1분기에 비해 절반수준으로 급감했다.

지난 20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D등급을 받아 퇴출이 결정된 C&중공업을 비롯해 대한조선, 진세조선, 녹봉조선 등이 워크아웃대상으로 지정된 가운데 금융당국과 은행권은 내달 초까지 중소조선사 4곳에 대한 2차 구조조정 대상을 확정키로 했다.

이재원 동양종금증권 애널리스트는 "국내 신생 중소형 조선사에 대한 구조조정이 방향은 바람직하나 효과는 미지수"라며 "궁극적으로 기존 대형조선사나 중국업체의 생산 조정이 필요해 조선업 불황국면은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재은 기자 aladin@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