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 공무원 노조 통합하나?

3개로 나눠졌던 공무원노조가 본격적인 통합 논의에 들어가기로 해 결과가 주목된다.

민주노총 산하 전국공무원노동조합(이하 전공노)은 6일 민주노총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민주공무원노동조합(이하 민공노), 법원공무원노동조합(이하 법원노조) 등에 통합논의를 제안했다.

전공노는 발표문에서 "공무원노동자의 총단결이 필수적인 과제이며 공무원노조의 통합과 단결은 현장 조합원의 절박하고도 준엄한 요구"라고 전제한 뒤 "공무원 조직을 결집시켜 20만, 30만 조합원 시대를 현실화 하자"고 밝혔다.

전공노는 구체적 방안으로 민공노를 상대로 제기한 '노동조합 신고증 교부처분 취소의 소'를 취하하기로 하고, 통합방식과 로드맵을 도출하기 위한 통합추진기획단 회의를 소집하겠다고 말했다.

민공노도 이에 대해 환영의 뜻을 밝혔다.

민공노는 "출범하면서부터 촉구했던 상호갈등 해소를 위한 소송 취하를 받아들인 것을 환영한다"며 "공무원노동자의 대통합을 위해서라면 많은 것을 양보할 수 있다"고 전했다.

전공노의 이같은 통합 제안은 이명박 정권 출범에 따른 구조조정 압박감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전공노는 통합제안 선언에서 현 정권에 대해 "반민주, 반노동, 반민중적인 정책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통합 논의가 순탄하게 진행되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이들 노조가 원론적인 차원에서 통합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논의과정에서 양측의 색깔과 이해관계가 충돌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민공노는 "민공노와 전공노의 통합 앞에는 양 조직 간에 해결해야 할 수많은 과제가 산적해 있다는 점 또한 부인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전공노도 "조직통합을 성사시키는데 많은 오해와 난관이 있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고 인정했다.

지난해 3월24일 전공노를 제외한 공무원노조총연맹, 민주공무원노조, 법원공무원노조, 행정부공무원노조, 교육기관공무원노조연맹, 광역자치단체공무원연대, 광역공무원노조연맹, 기초공무원노조연맹 등 8개 공무원노조는 통합공무원 노조를 만들기 위해 ‘통합공무원노조 설립준비위원회’를 구성했었다.

박현준 기자 hjunpark@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