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마점래 엠오티 대표 "캐즘 이후 대비…기술력으로 정면돌파"

"앞으로 전기 자동차용 이차전지 시장은 전고체·삼원계·리튬인산철(LFP) 배터리로 재편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전고체 배터리 양산을 위한 신규 설비투자가 증가하고, 기존 삼원계와 LFP 배터리 역시 성능·안전성·경제성을 개선하기 위한 설비투자가 이어질 ...

2025.03.27 06:50

엔플로우 “국내 다수 톱 배터리사와 전고체 협력…산업은행·에이티넘도 베팅”

“엔플로우가 만든 고체 전해질은 경쟁사들의 방식과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경쟁력이 뛰어납니다. 이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주요 이차전지 업체들과 활발히 협력하고 있습니다.” 류광현 엔플로우 대표는 <아시아경제>와 만나 사업 비전에 대해 이같이 ...

2025.02.21 13:49

이경호 GCT 의장 “AI 핵심은 통신…퀄컴 넘어 美버라이즌과 협력”

“인공지능(AI), 로봇, 자율주행 등 4차 산업혁명에 가장 근본적 기술은 바로 ‘통신’입니다. GCT세미컨덕터는 미국 1위 사업자 버라이즌과 함께 매년 50%씩 성장하는 미국 초고속 무선 인터넷 서비스(FWA) 시장을 공략할 계획입니다.” 이경호 GCT세미컨덕터 ...

2025.02.21 08:11

이상균 크레오에스지 대표 “바이오 전문기업 도약…FDA 임상2상 박차”

“세계 최초로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전체 바이러스를 이용하는 에이즈 백신을 개발 중입니다. 미국 FDA에서 큰 관심을 보였고 임상 2, 3상을 함께 진행하는 신속심사 제도(패스트트랙) 가능성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상균 크레오에스지 대표는 아시아경 ...

2024.10.24 07:00

김정주 랩지노믹스 대표 “국내 최초 K-진단 美생태계 구축 완료…내년 퀀텀점프”

“국내 진단기업 중 누구도 하지 못했던 ‘K-진단의 미국 생태계 구축’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내년에는 역대 최대 실적을 목표로 빠르게 매출 성장을 이룰 것입니다.” 17일 김정주 랩지노믹스 대표이사는 아시아경제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클리아랩 3개를 인수를 ...

2024.10.17 06:00

박창호 SG 대표 “세계 최초 우크라이나 스틸아스콘 특허로 시장 선점”

“글로벌 아스콘 기업 중 최초로 우크라이나에서 에코스틸아스콘, 즉 제강 슬래그로 아스콘을 만드는 기술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습니다. 이 특허는 미국, 일본 등 다국적 기업들에 대한 진입장벽이 될 전망입니다.” 국내 1위 아스콘 기업 에스지이(SG)의 박창호 ...

2024.06.13 06:20

신화콘텍 “음성 AI 마이크 700만대 수주…글로벌 완성차 1차 협력사 등록”

“지난달 26일 현대기아차의 1차 벤더로 등록됐습니다. 2026년부터 양산하는 현대차에는 신화콘텍이 개발한 인공지능(AI) 음성인식 마이크가 들어갈 예정입니다.” 이정진 신화콘텍 대표는 최근 아시아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신화콘텍은 전자기기용 ...

2024.05.10 06:05

정한섭 트윔 대표 “美 이차전지·태양광 시장 본격 공략”

“올해부터 미국 조지아 법인을 전초기지 삼아 현지 태양광, 이차전지 업체에 본격 진출할 계획입니다.” 정한섭 트윔 대표는 최근 아시아경제와 만나 트윔의 올해 비전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트윔은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통해 룰(Rule) 기 ...

2024.04.23 06:05

"상장 발판으로 해외 디지털 트윈 시장 진출"

"전 세계 디지털 트윈 시장이 연평균 30% 이상 성장해 2028년에는 180조원 규모의 거대 시장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에이트는 국내에서 자체 기술로 입자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상용화한 최초이자 유일한 업체입니다. 기업공개(IPO)를 통해 조달한 ...

2024.01.31 06:50

"탁상용 전자현미경으로 이차전지·반도체시장 공략"

“산업이 고도화될수록 전자현미경의 수요는 늘어납니다. 산업용 시장은 이제 개화하는 단계입니다. 코셈은 글로벌 대기업들과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이차전지, 반도체, 바이오 등 산업용 시장을 공략할 것입니다.” 이준희 코셈 대표는 코스닥 상장을 앞두고 ...

2024.01.16 07:00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