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백그라운드 이미지영역입니다.
개헌, 미래를 잇다
기획

기획

개헌, 미래를 잇다

오늘의 지수
  • 코스피

    2,566.36

    하락 7.28 -0.28%

  • 코스닥

    734.26

    상승 11.46 +1.59%

  • 원/달러

    1,454.50

    -0.50 -0.03%

  • 원/100엔

    979.89

    -3.55 -0.36%

  • 원/유로

    1,582.28

    3.10 +0.20%

  • 원/위안

    200.92

    0.15 +0.07%

  • 삼성전자

    54,700

    변동없음 0 0.00%

  • SK하이닉스

    204,500

    상승 4,800 +2.40%

  • LG에너지솔루션

    326,500

    하락 14,000 -4.11%

  • 삼성바이오로직스

    1,051,000

    하락 2,000 -0.19%

  • 현대차

    198,500

    하락 2,500 -1.24%

  • 알테오젠

    392,000

    상승 17,000 +4.53%

  • 에코프로비엠

    112,500

    하락 3,100 -2.68%

  • HLB

    72,000

    하락 2,200 -2.96%

  • 에코프로

    59,800

    상승 2,400 +4.18%

  • 레인보우로보틱스

    317,500

    상승 10,500 +3.42%

03.14 기준

  • 25.03.10 07:00
    개헌절차법·국민투표법 미비, 가장 큰 걸림돌
    개헌절차법·국민투표법 미비, 가장 큰 걸림돌

    1987년 대통령 직선제 도입 이래로 개헌 논의가 매번 무산된 이면에는 개헌에 관한 절차 등이 까다로운 동시에 모호하다는 점도 크게 작용했다. 실제 헌법은 128조부터 130조까지 개헌안 발의와 국회 의결, 국민투표 등 헌법개정안 발의 이후 절차 등을 담고 있다 ...

  • 25.03.10 07:00
    주호영
    주호영 "개헌, 빠르면 하루 이틀 내에도 합의"

    "사실 빠르면 하루 이틀 내에도 합의할 수 있다." 주호영 국회부의장은 10일 아시아경제와 인터뷰에서 "(개헌은) 이제 초이스(선택)만 하면 될 문제"라며 이같이 말했다. 국민의힘 헌법개정특별위원장을 맡고 있는 주 부의장은 ‘권력구조’와 관련해서 개헌을 집 ...

  • 25.03.10 07:00
    유례없는 헌정질서 위기…시대전환의 대장정 시작됐다
    유례없는 헌정질서 위기…시대전환의 대장정 시작됐다

    편집자주대한민국 헌법은 국가의 근간이자 국민 삶의 기준이다. 마지막 개헌을 상징하는 '1987년 체제'는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40년 가까운 세월의 변화를 고려해 대한민국의 오늘과 내일을 새롭게 설계할 기준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국회의원, 정치학자에게 ...

  • 25.03.07 07:00
    박승 전 한국은행 총재는 누구
    박승 전 한국은행 총재는 누구

    "인생을 되돌아보면 절대 좌절하지 않았다는 것. 이것이 지금의 저를 있게 한 가장 큰 자산입니다."박승 전 한국은행 총재는 인생철학을 묻자 "시골 가난한 소작농의 자식으로 태어나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환경이었지만 내 뜻을 굽히지 않았다"며 이같이 답 ...

  • 25.03.06 17:16
    "협치로 풀 문제 계엄으로, 대통령 권력 분산해야"

    편집자주대한민국 헌법은 국가의 근간이자 국민 삶의 기준이다. 마지막 개헌을 상징하는 ‘1987년 체제’는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40년 가까운 세월의 변화를 고려해 대한민국 오늘과 내일을 새롭게 설계할 기준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국회의원, 정치학자에게 ...

  • 25.03.06 07:00
    "개헌 논의 헌법학계에선 이미 끝났다…실행만 남았을 뿐"

    편집자주대한민국 헌법은 국가의 근간이자 국민 삶의 기준이다. 마지막 개헌을 상징하는 '1987년 체제'는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40년 가까운 세월의 변화를 고려해 대한민국의 오늘과 내일을 새롭게 설계할 기준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국회의원, 정치학자에게 ...

  • 25.03.06 07:00
    "한국의 높은 시민의식이 개헌 동력"

    차진아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6일 아시아경제와의 인터뷰에서 "12·3 비상계엄 사태 때 우리나라는 수준 높은 시민의식을 보여줬다"면서 "국민 정치 참여의식이 높다는 점은 독일과 비교해 큰 장점이며, 이는 개헌의 동력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

  • 25.03.05 09:40
    "의원내각제 장단점 뚜렷, 韓 특수성 맞는 정치구조 필요"

    일본 도쿄 출신의 한국 국적 재일교포인 이지평 한국외대 융합일본지역학부 교수는 "한국의 비상계엄 사태로 인해 대통령제 약점이 드러난 만큼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제도 마련이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1988년에 LG경제연구원에 입사해 33년간 근무하면서 수석 ...

  • 25.03.05 09:40
    "경제불씨 되살린 韓 위기극복력, 정치 혼란 돌파할 국가 원동력"

    편집자주대한민국 헌법은 국가의 근간이자 국민 삶의 기준이다. 마지막 개헌을 상징하는 '1987년 체제'는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40년 가까운 세월의 변화를 고려해 대한민국 오늘과 내일을 새롭게 설계할 기준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국회의원, 정치학자에게 개헌 ...

  • 25.03.04 07:00
    "계엄 위기 단기간에 끝나…한국 정치 시스템 탄탄하고 역동적"

    편집자주대한민국 헌법은 국가의 근간이자 국민 삶의 기준이다. 마지막 개헌을 상징하는 '1987년 체제'는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40년 가까운 세월의 변화를 고려해 대한민국 오늘과 내일을 새롭게 설계할 기준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국회의원, 정치학자에게 개헌 ...

해마다 무슨 일이 있었을까?

매해 화제가 되었던 토픽 이슈 패키지! 한 눈에 파악해보세요.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