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콕!건강]끝없는 더위…'온열질환' 주의하세요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여름이 끝나가지만 여전히 온도가 떨어지지 않으면서 푹푹 찌는 한여름 날씨가 이어지고 있다. 폭염이 이어지면서 온열질환이 발생할 가능성도 여전히 높은 상태다.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손기영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와 함께 알아봤다.


한 농경지에서 농민이 뙤약볕 아래 밭일을 하다 땀을 닦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한 농경지에서 농민이 뙤약볕 아래 밭일을 하다 땀을 닦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온열질환은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될 때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을 말한다. 비교적 가벼운 일사병부터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열사병까지 다양하다. 질병관리청의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에 따르면 지난 5월 20일부터 7월 22일까지 전국에서 674명의 온열질환자가 보고됐다. 이 중 대다수인 368명(54.5%)은 낮 시간대(12시~17시)에 온열질환이 발생했다. 연령별로는 65세 이상이 전체 환자의 30%를 차지했다. 장소로는 야외 작업장이나 논·밭, 길가 등 실외 환자가 559명(82.9%)으로 실내 환자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더위가 심해질수록 스스로 대처가 어려운 노인과 아이, 만성질환자는 실외활동 시 고온에 무방비로 노출될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

종류별로 살펴보면 장시간 더위에 노출된 상황에서 수분 및 전해질 보충이 부족하다면 일사병(열탈진)이 생길 수 있다. 어지럼증, 피로, 오심, 무력감, 발열, 발한, 홍조, 빈맥, 구토, 혼미 등이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때는 서늘한 곳에서 안정을 취하고 물과 전해질을 보충해줘야 한다. 40도 이상의 고열이나 의식 변화가 발견되면 급속냉각요법 등의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더위에 오래 노출되었으나 땀이 나지 않고 오심·구토·의식 변화가 있다면 열사병을 의심해야 한다. 노인이나 심장질환자, 치매 환자, 알코올 중독자, 정신질환자 등이 오랜 기간 고온다습한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한다. 일사병과 증상이 비슷해 보이지만 열사병은 땀이 나지 않는 대신 오심, 구토가 심하고 의식 변화가 나타난다. 심부체온은 40도가 넘어가기도 한다. 환자를 즉시 그늘로 옮기고 옷을 풀어 시원한 물수건으로 닦으며 빠르게 119에 신고해 병원으로 이송해야 한다. 환자에게 찬물을 마시게 하는 건 체온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의식이 없다면 질식할 수도 있어 주의해야 한다.


더위 속에서 장시간 운동하다 보면 평소보다 땀을 많이 흘리는데 이때 열경련으로 불리는 근육경련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원인은 확실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전해질 이상과 관련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 열경련이 나타나면 시원한 그늘에서 근육을 스트레칭해줘야 한다. 최소 몇 시간 정도는 격렬한 운동을 피하면서 안정을 취하고, 전해질이 포함된 수액을 마시거나 보충하는 게 회복에 도움이 된다. 전해질 음료가 없다면 1ℓ 물에 소금 한 두 티스푼을 넣은 것으로 보충할 수 있다.

온열질환 예방법[이미지출처=서울아산병원]

온열질환 예방법[이미지출처=서울아산병원]

원본보기 아이콘

노인이나 어린이가 푹푹 찌는 더위에 노출되면 외부 온도에 적응하지 못하면서 열실신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는 혈액 용적이 감소하고 말초혈관이 확장되기 때문이다. 단순한 열실신은 안정을 취하면 대부분 쉽게 회복된다. 시원한 그늘을 찾아 호흡이나 맥박에 주의하면서 머리를 낮게 해주고 수액을 보충해준다.


뜨거운 햇빛에 장시간 노출되면 피부가 빨갛게 달아오르고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심하면 물집이 나거나 얼굴과 팔다리가 붓고 열이 오를 수 있다. 햇볕에 화상을 입는 일광화상이 생긴 것이다. 일광화상을 예방하려면 구름이 없는 맑은 여름날에는 오전 11시~오후 3시까지는 외출을 삼간다. 직사광선이 가장 강하게 내리쬐는 시간이기 때문이다. 이외 시간에는 얇은 겉옷으로 피부 노출 부위를 가리거나 외출 30분 전에 일광차단제(선크림)를 꼼꼼히 바르고 나가는 게 좋다. 증상이 발생하면 찬물로 찜질해주고, 통증이 심하면 진통소염제로 조절할 수 있다.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