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대기업 중심의 특허출원 증가가 두드러졌다. 국내 지식재산 출원이 전반적으로 감소한 것과는 다른 상황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허청과 한국지식재산연구원 특허통계센터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에서 출원된 지식재산권 출원건수는 총 26만여건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1.4% 감소했다. 다만 등록건수는 총 18만1000여건으로 11.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된다.
우선 지재권 출원이 줄어든 배경으로는 올해 상반기 GDP 성장률 하락과 기업 경영실적 악화 등 경제침체 영향이 꼽힌다.
주요 권리별 현황에서 지재권 출원은 특허가 유일하게 4.1% 증가하고, 디자인(?5.0%)과 상표(-3.5%) 등은 모두 감소했다.
반면 등록 부문에선 상표 등록이 33.0%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해 전체 등록 증가율을 견인했다.
이는 지난 2020년을 전후해 평균 10% 이상 증가·누적된 상표출원이 올해 상반기 심사 후 등록된 결과로 풀이된다.
대기업 등의 출원건수 증가도 올해 상반기 지재권 출원에서 눈여겨볼 지점이다.
올해 상반기 출원인 유형에서 중견기업(-3.9%), 중소기업(-3.8%), 내국인 개인(-0.4%), 외국인(-6.3%) 등의 출원건수가 지난해 상반기보다 대체로 감소한 것과 달리 대기업은 7.3%의 비교적 양호한 증가율을 보였다. 또 대학과 공공연구기관 등이 포함된 기타 부문에서도 지재권 출원은 7.8% 늘어난 것으로 집계된다.
이중 대기업의 지재권 출원건수 증가는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반도체와 전기기계·에너지, 디지털 통신 및 컴퓨터기술(AI) 등 신기술 분야에서 특허출원에 집중한 덕분으로 분석된다.
특히 전기·화학·기구·기계·기타 등 세계지식재산기구(WIPO)의 5대 기술 분야 중 신기술 분야가 다수 포함된 전기 분야의 특허출원 증가율은 4.7%를 기록해 이외에 다른 기술 분야(화학 0.4%·기구 1.7%·기계 0.1%·기타 1.4%)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한편 한국지식재산연구원 특허통계센터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지식재산 통계 FOCUS(통권 22호)’를 발간했다. 통계자료는 지식재산 주요 통계의 신속한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돼 특허청과 한국지식재산연구원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됐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