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2차 추가경정예산안에서 물사회기반시설(SOC) 및 홍수예방 사업에 2400억원 규모를 증액하고, 무공해차 보급 사업 분야에서 5400억원 규모를 감액했다고 19일 밝혔다.
환경부는 이날 국무회의에서 경기 진작 및 민생 안정을 위한 이같은 내용의 '새정부 추가경정예산안'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추경은 하수처리장과 폐기물처리시설, 국가하천 정비, 수문조사시설 개선 등 9개 사업을 중심으로 증액이 이뤄다. 민생 경기 진작을 위해 SOC에 중점적으로 추경 예산이 편성됐다.
구체적으로 하수처리장, 하수관로, 폐수처리시설, 공업용수도 등 물 관련 사회기반시설에 총 954억원이 반영됐다. 하수처리장 설치에 575억6000만원, 하수관로 정비 70억원, 공공폐수처리시설 57억8000만원, 공업용수도 안정화 71억원 규모다. 수문조사시설 개선에 150억원이 편성된다.
아울러 비점오염 저감 사업 180억1000만원, 국립공원 및 지질공원 조성 304억4000만원, 국가하천 정비 418억원 등도 마련됐다. 비점오염이란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토사, 농약, 비료, 중금속 등)이 비가 올 때 빗물과 함께 쓸려 내려가 하천을 오염시키는 현상을 말한다.
반면 무공해차 보급 사업에는 4672억5000만원, 충전 인프라 구축 사업 역시 630억원도 각각 감액됐다. 스마트하수도 관리체계 구축 100억원, 하수처리수 재이용 사업 70억원 등 일부 계속사업도 집행 가능성을 반영해 조정됐다.
세종=이동우 기자 dwle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