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중국 무이산, 서울서 문화·관광·차문화 홍보행사 개최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 ‘풍경을 품은 무이산 자연·인문·차의 향기’ 주제로 대규모 통합 홍보 진행

남평시 당위원회 서기 위안차오홍(袁超洪)이 한국 관광객의 방문 편의를 위한 각종 정책을 설명하고 있다. 무이산시 제공

남평시 당위원회 서기 위안차오홍(袁超洪)이 한국 관광객의 방문 편의를 위한 각종 정책을 설명하고 있다. 무이산시 제공

AD
원본보기 아이콘

중국 푸젠성의 대표적 관광지인 무이산이 16일 서울에서 '풍경을 품은 무이산 - 자연·인문·차의 향기'라는 주제로 차 문화와 관광을 아우르는 대규모 통합 홍보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서 무이산 측은 "무이산 국제공항이 현재 환승 무비자 입출국 항구로 지정되어 있으며, 한국 관광객은 최대 30일간 무비자로 입국할 수 있다"고 밝히고 "향후 서울과 무이산을 직접 연결하는 직항 노선 개설을 적극 추진 중"이라고 덧붙였다.

중국 푸젠성 북서부에 위치한 무이산은 국가공원으로 지정된 명승지로, 중국에서 유일하게 세계자연유산과 세계문화유산을 동시에 보유한 지역이다. 특히 중국 전통 다문화의 발상지로서 '차 예술의 고향'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이번 홍보 행사는 양국의 문화적 공통성을 탐구하고 협력을 확대하며 양국 국민 간 우호를 증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됐으며, 자연 산수를 매개로 삼고 주자학을 문화적 가교로 설정하여 한국과 중국 간의 문화적 교류를 더욱 심화하는 프로그램으로 채워졌다.


위저우(余洲)무이산시 시장이 16일 열린 통합홍보행사에서 한국 관광객들의 무이산 방문을 염원하는 발언을 하고 있다. 무이산시 제공

위저우(余洲)무이산시 시장이 16일 열린 통합홍보행사에서 한국 관광객들의 무이산 방문을 염원하는 발언을 하고 있다. 무이산시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

특히. 이날 행사에서 무이산 당국은 외국인 관광객의 방문 편의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준비했다고 소개했다. 2025년 6월 30일까지 무이산 관광지 전체의 입장료를 국내외 관광객 모두에게 면제하며, 무이산 시내버스도 시민과 관광객에게 무료로 개방할 예정이다. 공휴일 기간에는 무이산 경전철 또한 전면 무료로 운영된다.

현재 한국은 무이산 관광의 핵심 시장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무이산 시는 한국 관광객을 위한 맞춤형 여행코스 개발, 관광 안내 표지판의 한글화 작업, 한국어 가능한 전문 가이드 인력 확보, 한국 관광객들이 선호하는 숙박 및 음식점 선정 등 관광 환경 개선에 적극적으로 힘써 왔다.


이 밖에도 이번 서울 홍보 행사에서는 무이산의 절경을 담은 사진 전시회, 무형 문화유산 시연, 다채로운 차 문화 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었으며, 방문객들은 무이산 특유의 자연 풍광과 풍부한 문화유산을 직접 체험할 수 있었다.


또한 행사 현장에서는 한중 양국의 차 전문가가 참여한 다예 시연과 주자학 관련 학자들이 참여한 학술 교류 세션이 함께 진행됐다. 이를 통해 참가자들은 중국 무이산 문화의 깊이를 느끼고, 차를 우리는 과정과 음미를 통해 주자학적 가치인 '예의와 격조'를 직접 체험하는 기회가 마련됐다.


행사 주최 관계자는 "무이산을 대표하는 전통문화인 주자학과 차 문화는 한국에서도 학문적, 문화적으로 높은 관심과 호응을 얻고 있으며, 이번 행사에서도 양국 문화 교류의 핵심 콘텐츠로 자리 잡았다"면서 "앞으로도 이와 같은 체험형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 국민들이 무이산의 차 문화 및 주자학 문화를 깊이 이해하고, 무이산이 보유한 세계유산급 자연경관과 무형문화재의 진정한 가치를 발견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진 기자 peng1@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