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정치 리스크' 밸류업에 전화위복 되나 "지배구조 개선 속도 낼 것"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코리아 밸류업 지수, 정국 혼란에 약세
밸류업 정책 무산 우려 불거져
"野, 거버넌스 개혁 적극적…밸류업 기회일 수도"

국내 증시에 정치적 불확실성이 연일 짙어지면서 밸류업 정책 지속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다만 증권가에서는 밸류업 정책이 이대로 무산될 가능성은 적으며, 오히려 야당의 목소리가 힘을 얻어 기업 거버넌스 개선에 집중하는 정책이 추진되면 기업 밸류업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치 리스크' 밸류업에 전화위복 되나 "지배구조 개선 속도 낼 것"
AD
원본보기 아이콘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6일 코리아 밸류업 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13.10포인트(-1.35%) 내린 958.41에 거래를 마쳤다. 국내 정치 상황이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게 되면서 코스피(-0.56%)보다 저조한 성적을 기록했다. 시장에서는 현 정부가 올해 초부터 강력하게 이끌어 온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추진 동력이 크게 훼손됐다는 우려가 가득한 상황이다.


증권가는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 해소를 위한 당국의 목표는 여전하기 때문에 밸류업 정책이 큰 방향에서 바뀔 가능성은 작다고 지적했다. 김윤정 LS증권 연구원은 "장기간에 걸쳐 연속성 있게 노력을 들여야 안착이 가능한 밸류업 정책이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된 것은 맞지만, 그간 당국이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오랜 과제로 삼아왔기 때문에 정책 자체가 크게 바뀔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오히려 최근 부각된 정치 리스크가 밸류업 정책에 위기로 작용하기보다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김 연구원은 설명했다. 거버넌스 개혁 측면에서는 긍정적일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김 연구원은 "향후 정권 변화 시 야당이 우선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시행될 가능성이 있다"며 "금융투자소득세와 가상자산 과세에 대해서는 민주당 측이 시장 영향 등을 고려해 폐지 및 유예 쪽으로 당론을 확정하고 국회에 안건을 상정한 상황이라 해당 사안 관련한 불확실성은 낮은 상황이다. 이제는 기업 지배구조 개선과 관련해 소액주주 권리 향상이나 이사회의 책임 강화를 명시하는 상법 개정 등이 속도를 낼 수 있다"고 짚었다.


아울러 기존 밸류업 지수 내에서도 기업 지배구조가 우수한 기업의 수익률이 더 뛰어나다는 분석도 나온다. 야당에 의해 거버넌스 개선에 대한 정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면 밸류업 지수의 성과가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는 이유다. 이경연 대신증권 연구원은 "거버넌스 점수를 활용해 밸류업 지수를 재해석한 결과 거버넌스 상위 20% 종목으로 구성한 포트폴리오는 코스피가 2500선을 밑돌며 낙폭을 확대하던 시기에도 상대적으로 하방을 지지한 반면, 거버넌스 점수 하위 20% 포트폴리오는 낙폭이 컸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밸류업 투자도 거버넌스에 따라 차별화되는 상황이다. 밸류업 프로그램의 후속 조치로 상법 개정이 논의되는 가운데 거버넌스는 점차 중요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승형 기자 trust@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