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스마트시티 성공 열쇠는 규제에서의 자유와 적극적인 지원에 달려 있다."
김 사장은 2일 아시아경제와 인터뷰를 통해 스마트시티를 향한 서울의 걸음이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올 초 취임 후 대만과 일본 등 해외 스마트시티 선진 사례를 직접 찾았던 김 사장은 현재 스마트시티에 적용할 기술 요소는 물론 건설비용이나 추가 건축비 회수 기간, 조성 과정에서 정부나 시로부터 지원받은 인센티브, 세제상 혜택 등을 모두 꼼꼼히 연구하고 있다.
김 사장이 그리는 이른바 '서울형 스마트시티'는 서울의 장점인 정보기술(IT)을 기반에 둔 도시계획이다. IT 유망 기업이 많은데다 인구 밀도까지 높아 첨단기술을 적용한 도시관리가 되레 유리하다는 얘기다.
규제 완화와 지원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해외 성공사례라 불리는 도시의 경우 대부분 규제로부터 자유롭고 정부나 지방정부로부터 적극적인 지원을 받고 있다는 게 김 사장의 분석이다. 김 사장은 "계획단계부터 유지관리 단계까지 관련 주체들의 참여를 기반으로 시민들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참여 유도, 참여 기업들이 유지관리단계까지 함께하는 시스템이 구축돼야한다"고 말했다.
우선적인 제도 개선으로는 정보 접근의 장벽을 지적했다. 김 사장은 "현재 우리나라는 개인정보보호법이란 강력한 정보제공 장벽이 있어 유익한 정보 취득이 어려운 상황으로 공공의 이익에 도움이 되는 정보 접근의 장벽을 완화하고 공공이 가지고 있는 각종 데이터의 공유를 용이하게 하는 제도 개선이 이뤄져야한다"며 "체계적 툴인 스마트시티 표준 제정이 가장 중요한 시점으로 표준마련을 기반으로 체계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센티브를 내걸어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방안도 내놨다. 스마트시티의 활성화와 정착을 위해서는 시민이 주체가 돼야하는 탓에 교육과 참여를 위한 인센티브 제공 등 유인책이 필요하다는 게 판단에서다.
SH공사가 스마트시티를 콘셉트로 개발을 진행 중인 마곡지구도 단계별 계획 수립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마곡지구는 스마트시티 인프라인 교통, 방범, 시민안전 등의 시설을 2010년부터 조성하기 시작해 현재 95% 이상 조성이 끝났다.
김 사장은 "이같은 지리적 여건과 인프라를 바탕으로 시민밀착형서비스와 지속가능한 공간복지형 스마트시티를 추진 중에 있다"며 "1단계로 시민밀착형서비스를 2019년 상반기 중 구축예정으로 시민과 공감하고 시민이 생각하는 서비스에 대한 설문조사를 10월초 완료했고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시티 기본구상안을 확정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현재 마곡 내 일부 사업구역에는 스마트시티 관련 시스템이 이미 적용 중에 있다. 최근 개장한 서울식물원에 스마트 미아방지 웨어러블 팔찌 시스템, 이용자 안전을 위한 스마트비상벨과 연동되는 스마트 CCTV시스템, 에너지 절감을 위한 이용자 감응형 스마트 보안등,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스마트 에너지관리시스템(BEMS), 관람객 수를 실시간 확인 가능한 스마트 영상정보시스템 등이 도입됐다.
김 사장은 "스마트시티로의 전환이 시작된 만큼 SH공사는 도시문제와 생활문제를 위한 거버넌스 체계를 마련하고 세대간 조화와 공존을 위한 도시체계 구축에 나설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로는 어르신들의 외로움은 어린아이들의 돌봄으로 채우고 자녀를 둔 부모는 이 시간 동안 자유로운 활동을 할 수 있는 여건 조성도 가능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싼 맛에 쓰다가 망하게 생겼다…세계 시장 뒤흔드...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