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출발전략
-단기 급등이 일어나
-중요한 점은 지금의 급등이
어디까지 이어질지의 여부
-또한 중장기적인 유가의 흐름
60달러 수준까지 상승 가능성 있어
-사우디의 폭넓은 포용과
다크호스인 이란과 러시아의 동참이 중요
-다만 중장기적으로
저유가 기조 이어질 가능성 높아
-구조적인 변화가 주요
-셰일산업은 전통원유시장을
공급자 우위에서 소비자 우위로 바꿔놔
-가격의 탄력적인 증가, 제한적이라는 의미
결국 재정 취약한 중동 국가들의 이탈 야기
-OPEC 내 명확한 생산량
감산 조절 기능 없다는 점
-결국 OPEC의 카르텔은 와해 가능성 있어
-결론적으로 이번 합의 내용,
예상보다 중대한 의미가 있다는 점
-단기적인 오버슈팅 가능성이 있어
-다만 구조적인 변화 염두
-여전히 국제유가 향방,
연 평균 54달러 내외의 박스권 흐름 예상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