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기업이 들어서는 곳은 해당 기업의 상주인력을 포함해 계열사, 협력사 등 배후수요가 풍부하다. 또 도시기반시설과 함께 상권도 활성화되기 때문에 아파트 외에도 오피스텔, 상업시설 등의 부동산 상품도 인기가 높다.
이런 호재 덕분에 송도국제도시가 위치한 인천 연수구 송도동은 인천시에서 시세가 가장 높다. 18일 KB국민은행 시세에 따르면 인천시 평균 시세는 3.3㎡당 815만원이다. 반면 송도동은 3.3㎡당 1267만원으로 약 452만원 가량 차이가 난다.
분양가 프리미엄도 인천 내에서 가장 높다. 리얼투데이가 국토교통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인천 연수구 송도동 '송도 더샵 그린워크 3차' 전용 115㎡는 지난달 6억9000만원에 거래돼 6914만원의 프리미엄이 생성됐다. '송도 에듀포레 푸르지오'의 전용 72㎡도 같은 기간 4억2230만원에 거래돼 5250만원의 웃돈이 붙었다.
대기업 호재는 신규분양에서도 영향을 미친다. 지난달 경남 창원 의창구 중동에 분양한 '창원중동유니시티2단지'의 청약 접수결과 총 771가구 모집에 9만8334명이 접수를 진행해 평균 127.54대 1로 청약을 마감했다. 단지 인근에는 LG전자, 현대모비스, 두산중공업 등 대기업들이 입주해 있다.
이런 분위기를 타고 대기업 특수가 있는 지역에 신규 분양이 이어지고 있다.
동원개발은 경기 화성시 동탄2신도시 A103블록에서 '동탄2신도시 동원로얄듀크 1차'를 분양 중이다. 대기업 이전 호재가 있는 155만5000㎡ 규모의 동탄테크노밸리와 바로 인접해 있고 삼성전자와도 2km거리 내에 있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0층 6개동 전용면적 59~84㎡ 총 434가구로 조성된다.
대우건설이 충북 청주시 흥덕구 송절동 청주테크노폴리스 산업단지 A-4BL에서 '청주 테크노폴리스 푸르지오'를 분양 중이다. 테크노폴리스 산업단지에는 SK하이닉스가 약 15조5000억원의 투자협약을 체결했고, LG생활건강 역시 3800억의 입주 및 분양계약을 체결하는 등 대기업의 투자가 잇따르고 있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5층 12개동 전용면적 73~84㎡ 총 1034가구로 구성된다.
현대산업개발의 계열사 HDC아이앤콘스는 오는 20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일원에 '대치2차 아이파크' 오피스텔을 분양한다. 단지가 위치한 삼성역 일대는 잠실운동장으로 연계한 국제교류복합지구개발, 현대자동차그룹의 현대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건설 등 굵직한 사업들이 진행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5층~지상 14층 규모로 전용면적 21~87㎡ 오피스텔 159실 규모다.
아이에스동서는 인천 서구 청라국제도시 M1블록에 '청라 센트럴 에일린의 뜰' 아파텔 2차분을 분양 중이다. 청라국제도시에는 2017년 신세계 복합쇼핑몰과 하나금융타운이, 2018년 의료복합타운 등이 각각 들어설 예정이다. 지하 2층~최고 37층 10개동 아파트 전용면적 84~95㎡ 1163가구, 오피스텔은 전용면적 45~55㎡ 총 866실 규모다. 이 중 2차분인 452실을 분양 중이다.
롯데건설은 6월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성복동 23번지 일대에 '성복역 롯데캐슬 골드타운 오피스텔'을 분양한다. 신분당선 성복역 초역세권 오피스텔로 삼성물산이 위치한 판교역(판교 알파돔시티)까지 13분만에 도달할 수 있다. 단지는 지상7층~22층 전용면적 30~84㎡ 총 375실로 구성된다.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