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투자증권 이세철 연구원은 16일 “3D낸드는 엔터프라이즈 수요 확대로 시장성이 높아지면서 생산기업이 삼성전자 1개사에서 올해 하반기 이후 마이크론, 도시바, 인텔, 샌디스크, SK하이닉스 등 6개 업체로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최근 중국 XMC도 27조원 이상의 자금을 활용해 3D낸드 기술을 개발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어 3D업체 간 경쟁이 가속화돼 3D낸드 반도체 인프라·장비·소재업체의 수혜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최 연구원은 수혜종목으로 △평택 인프라 관련주로 한양이엔지(공급장치·스크러버), 신성이엔지(클린룸) △3D낸드 장비주로 원익IPS(PECVD), 테스(PECVD), 피에스케이(Asher), 케이씨텍(CMP) △3D낸드 소재주로 후성(에칭 Gas), 원익머트리얼즈(CVD Gas)를 제시했다.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