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해외재테크 뉴스 보도팀 박주연 기자와 함께 합니다. 중국발 경제위기 우려가 올 해 스위스 다보스포럼의 최대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어떤 내용들이 오갔을까요?
리부주석은 21일(현지시간) 다보스에서 블룸버그통신과 가진 인터뷰에서 "중국 시장은 아직 성숙해있지 않다"면서 지나치게 많은 변동을 막기 위해 정부는 규제를 강화할 것이 라고 말했는데요.
그는 "과도하게 변동하는 시장에서는 다수의 투자자들이 손해를 입고 소수가 대부분의 이득을 취하게 된다"며 "중국 정부는 투자자 다수의 이익을 보호할 것" 이라고 이야기 했습니다.
리 부주석은 이날 WEF에서 가진 연설에서 "중국은 중· 고도 성장(medium to high growth)유지에 대한 확신과 능력을 가지고 있다"며 중국경제 둔화에 대해 국제사회가 두려움을 가질 필요가 없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앵커>두려움을 가질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어도 사실 외부에서 보는 시각은 중국경제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이 많은 상황입니다. 포럼 참가자들 사이에서도 중국 발 경제위기를 경고하는 발언들이 이어졌죠?
기자>그렇습니다. 세계최대 헤지펀드 블랙워터어소시에이츠의 설립자 겸 회장인 레이 달리오는 21일 '중국경제 어디로 가나'란 주제의 세션에 참석해 "중국 위안화 가치가 조정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는데요. 그러면서도 "국제 경제가 가뜩이나 취약해졌고, 중앙은행들이 적절한 대응수단을 가지고 있지 못한 지금의 상황에서 중국 위안화를 약화시키는 시도가 전 세계에 디플레이션을 수출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그는 중국의 성장전망에 대해서는 크게 걱정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나타냈습니다.
그런가하면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총재는 최근 중국 증시 폭락사태와 관련해 "투자자들과의 소통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고요. 제이컵 루 미국 재무장관은 " 진짜 문제는 중국이 과연 개방과 개혁에 대해 준비가 돼있는가 하는 점"이라고 우려를 제기했습니다.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