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그런가 하면 중국 당국도 살얼음판 증시에서 조심스러운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새해 첫 IPO 일정이 시작된 가운데 올해부터 IPO 청약 시기나 방식 등 여러 방면에서 새 규정을 적용한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새해 벽두부터 중국증시도 요동쳤었죠. 그런 만큼 앞으로 중국당국도 증시에 미칠 충격을 최소화하는데 주력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국은 우선 IPO 건수와 규모를 줄였습니다. 딜로이트 통계에 따르면 지난 해 중국 증시에서 모두 220개 기업이 IPO를 통해 총 1588억 위안(약 29조원)의 자금을 조달했습니다. 지난 해 매달 평균 18개 기업이 IPO로 약 130억 위안을 조달한 것과 비교하면 올해 첫 IPO 물량은 3분의 1 수준에 불과합니다.
공모주 청약 날짜도 고르게 배정하기로 했는데요. 지난해처럼 10여개 기업의 청약이 하루에 몰려 증시 수급 악화를 초래하는 상황을 막자는 의도입니다. 이에 따라 원칙적으로는 하루에 기업 1곳만 청약을 시행하게 됩니다.
이밖에 공모주 청약 증거금 선불 납부 제도도 올해부터 취소됐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공모주 청약 후 배정받은 주식만큼만 증거금을 후불로 납입하면 되는데요. 반면 그 동안 중국에서는 주식을 배정 받기도 전에 청약증거금을 선납해야 했었죠. 이는 IPO 시장에 대규모 자금이 쏠려 주식시장의 변동성을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해 왔었습니다.
이런 점을 감안해 증감회에서 전체 기업공개 수량과 자금 조달규모를 통제하는 모습입니다.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