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 병사 계급체계가 단순화될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는 '이병-일병-상병-병장' 4단계인 현 병사 계급체계를 '일병-상병' 2단계로 대폭 축소하는 방안을 장기과제로 선정할 예정이다.
12일 국방부에 따르면 민관군 병영혁신위원회는 이날 오후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마지막 전체회의를 갖고 군 사법제도 개혁을 포함한 22개 병영혁신과제를 국방부에 권고할 예정이다. 국방부는 병영혁신위의 권고안과 국회 군 인권개선 및 병영문화혁신 특별위원회의 의견을 수렴해 18일 최종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병영혁신위는 우리 병사들의 현 계급체계는 '삼등사-이등사-일등사-사장' 등 아직도 병사의 계급을 4개로 유지하고 있는 일본의 잔재라는 의견이다. 또 36개월 군복무할 때 4계급 하던 것을 21개월 군복무 시에도 그대로 적용한다는 것 역시 상황과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해외의 경우 미국·호주는 3계급, 중국·러시아는 2계급 체계이며 태국은 아예 병사 간 계급 구분이 없다.
병영혁신위는 또 군 사법제도 개혁의 일환으로 사단급 부대에 설치된 군사법원을 폐지하고 군단급 이상 부대에서 군사법원을 통합 운용하는 방안을 국방부에 권고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단장 등 지휘관이 군사재판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하고 군사법원의 독립성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또 법무장교가 아닌 일반장교를 군사법원 재판관으로 임명하는 심판관 제도는 폐지하고, 군사법원이 정한 형량을 지휘관이 임의로 낮추는 지휘관 감경권의 행사도 엄격히 제한하도록 권고할 방침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병영혁신위가 군사법원을 야전부대에서 분리해 국방부 산하의 5개 지역본부별로 설치하는 방안과 민간인이 군사재판에 참여하는 국민참여재판 제도의 도입도 검토했으나 논의과정에서 폐기돼 군 사법제도 개혁 의지가 후퇴했다는 지적도 받고 있다. 또 병영혁신위가 백화점식 병영혁신안을 제시했으나 국민이 기대하는 수준의 근본적인 제도개선안을 마련하지는 못 했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