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T는 IPTV 사업자 가운데 가장 먼저 KBS, SBS와의 합의를 통해 11월 중순부터 지상파 채널을 포함해 총 30개 채널로 실시간 IPTV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다. 다만 MBC노조의 반대로 주춤하고 있는 KT-MBC간 협상은 아직도 타결되지 못했다.
당초 방송통신위원회가 추진했던 '10월 본 방송' 스케줄이 한달여간 지연되기는 했지만 협상이 극적 타결을 본 것은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이다. KT 외에 또다른 IPTV사업자인 SK브로드밴드와 LG데이콤도 협의를 마치는 대로 서비스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는 국내에 IPTV 도입 논의가 있은 지 5년만에 이뤄지는 실질적인 성과라는 점에서 환영할 만한 일이다.
하지만 뒷맛은 그리 개운치 않다. 합의는 했건만 KT와 KBS, SBS 등 양측 당사자 모두 만족스러운 표정도 아니다.
KT는 KBSㆍSBS 등 양 지상파 방송사와 실시간 재전송에만 합의했을 뿐 최대 이슈였던 가입자당 비용(CPS) 문제는 구체적으로 정하지 못했다. 일단 IPTV 상용화 서비스를 개통한 뒤 3개월간 가입자 추이를 지켜본 뒤 콘텐츠가격 문제 등에 대해 재협상을 벌이기로 했기 때문이다.
아울러 방송사에 속해 있는 프로그램 공급업체(PP)들의 콘텐츠 송출 문제도 별도 협의를 거쳐야만 한다. 아직 손봐야 할 곳이 많은 '미완의 합의'인 셈이다.
KT와 협상을 진행중인 MBC는 양 방송사의 합의 소식에 "쉽게 주도권을 내줬다"면서 불만을 토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IPTV 참여를 미루고 있는 PP들은 KBSㆍSBSㆍMBC 등 방송3사와 어떤 방식으로 협의를 해야 할지 고민에 빠진 형국이다.
SK브로드밴드와 LG데이콤의 심기도 편치 않은 듯 하다. KT가 이번 합의를 이끌어내면서 양 방송사에 콘텐츠 제작을 위한 펀드 조성을 지원키로 함에 따라, 펀드 규모와 운용 방식 등과 관련해 양사도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IPTV 서비스는 이제야 비로소 출발선상에 섰으며, 3주 후쯤 첫 테이프를 끊을 전망이다. 하지만 최종 합의에 이르려면 아직도 가야할 길이 멀어 보인다. IPTV 서비스가 시장에 안착하기 위해서는 이해 당사자들간의 대승적인 협력이 반드시 전제돼야 한다.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nomy.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