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청와대가 오는 15일 건국 60주년 및 25일 취임 6개월을 앞두고 최근 국정주도권 장악을 위해 대대적인 개혁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상황에서 것이어서 그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번 회동에서는 구체적 의제를 정하기보다는 정치, 경제, 외교안보 등 정국 현안에 대한 폭넓는 논의가 오갈 것으로 전망된다.
우선 쇠고기파동으로 촉발된 위기상황이 어느 정도 일단락된 만큼 당청이 국정 정상화를 위해 노력하자는 데 뜻을 모을 것으로 보인다.
당청은 그동안 대북특사 제안 및 18대 국회 원구성 문제 등으로 적지 않은 불협화음을 노출해왔다. 금강산 관광객 피격사건 및 경색된 남북관계를 풀기 위한 한나라당의 대북특사 제안을 청와대에서 일축한 바 있고 여야가 마라톤 릴레이회담 끝에 도출한 18대 국회 원구성 합의안 역시 청와대의 거부로 무산됐다.
이어 스태그플레이션 조짐을 보이는 어려운 경제사정을 감안, 서민생활 안정을 위한 민생법안 처리의 중요성을 촉구하고 민주당 등 야권에 국회정상화에 대한 협조도 당부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번 회동에서는 한나라당에서 박 대표를 비롯해 안경률 사무총장, 차명진 대변인, 김효재 대표비서실장이, 청와대측에서는 정정길 대통령실장과 맹형규 정무수석, 이동관 대변인이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nomy.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