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서방국가간 투명성 놓고 논쟁 가열
대규모 서브프라임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부실로 미국과 유럽의 금융회사들이 손실을 입자 중동 중국 등 아시아국가들이 운영하는 국부펀드들이 자금수혈에 참여했다.
부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손을 벌려야했던 '금융선진국' 서방국들로선 자존심이 상하는 건 당연한 일.
이에 따라 이들 서방국가는 국부펀드 활동에 제약을 가할 목적으로 자금운용 투명성 등 행동강령을 마련, 전세계 국부펀드에 적용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에 대해 2000억달러 규모의 국부펀드를 운용하는 중국정부의 고위관리는 서구 국가들이 요구하는 일종의 규범은 필요치 않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중국이 서방선진국 중심인 G7 및 국제통화기금(IMF) 등이 국부펀드들에 대해 행동강령 마련을 요구하는 움직임에 대한 공식적인 반발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동안 중국ㆍ싱가포르 등 대규모 국부펀드를 운용하는 국가들은 외부로부터의 투명성 요구에 대해 국부펀드의 투자결정은 정치적 목적은 배제한 순수한 투자목적에 따른 것이며 투명성을 최대한 높이겠다는 입장을 견지해왔다.
7일 아시아월스트리트저널(AWSJ) 온라인판에 따르면 제시 왕 중국투자공사(CIC) 부사장 겸 최고위험관리자(CRO)는 국부펀드 운용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해 외부 조사를 허용하는 내용의 행동강령은 아시아국가들의 공격적인 투자행태에 피해의식을 느낀 서구국가들의 불필요한 요구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왕 부사장은 "국가 안보와 경제 보안을 해칠 우려가 있는 국부펀드 기밀 정보 공개는 근거가 없다"며 "우리가 외부에 대해 일일이 보고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왕 부사장은 국부펀드의 역사는 이미 50년이나 됐으며 글로벌 금융시장 안정성을 해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미국 등 선진국들은 정부가 관리하는 국부펀드는 비밀스럽고 불투명한 미스테리한 존재라며 투자대상국에 투자 동기와 가이드라인을 공개해 투명성을 높이라고 주장해왔다.
CIC는 지난해 여름 미국의 사모펀드인 블랙스톤에 30억달러를 투자했을 때 투자 조건 등에 대한 정보를 미 당국의 규제 조항에 따라 공개한 바 있다.
투명성 확대는 투자대상국 뿐 아니라 투자국내 국민들에게도 관심대상이다. 이들은 자국 국부펀드가 손실을 입을 때마다 책임논쟁을 벌이며 지배구조 등에 대한 투명성 논쟁을 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