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추어골퍼들에게 높은 탄도의 피치 샷은 '비장의 무기'가 될 수 있다.
산악지형에 조성된 국내 골프장의 특성상 좌우로 꺾어져 있는 도그렉홀들이 많고 그린 역시 높은 곳에 위치한 포대그린이 많기 때문이다.
볼의 탄도는 클럽의 로프트와 클럽헤드가 볼을 향해 접근하는 각도가 결정한다. 의식적으로 퍼올리는 것은 아무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이야기다. 퍼올린다는 것은 다시말해 손목의 풀림을 야기해 미스 샷을 일으킬 수 밖에 없다.
이번 주에는 어드레스의 조정으로 자연스럽게 볼의 탄도를 높이는 방법을 배워보자.
이때 상체의 중심축인 등뼈 각도도 조금 더 우측으로 기울게 한다. 평상시 피치 샷에서 볼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양손의 위치(핸드퍼스트 자세)는 볼 쪽으로 약간 조정한다.
주의할 점은 이 샷이 손목이 자연스럽게 풀어지는 상태나 풀어진 상태에서 볼과 접촉하게 되므로 볼이 놓여져 있는 라이의 상태가 아주 좋아야 한다는 점이다.
다시말해 볼이 지면과 아주 밀착해 있거나 반대로 공간이 너무 많은 플라이 라이(볼이 풀 위에 가볍게 올려져 있어서 평상시 보다 거리가 많이 나는 상태)에서는 미스 샷이 유발될 수 밖에 없다. 샷을 구사하기 전에 라이부터 세밀하게 살펴봐야 한다.
▲ 그립의 압력 (Grip Pressure)= 높은 탄도의 샷을 구사하기 위해서는 그립의 압력(그립을 쥐는 손의 힘)도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앞에서 설명했듯이 손목이 풀어지는 중이거나 풀어진 상태에서 볼이 임팩트되기 때문에 너무 강한 그립은 릴리스(임팩트 이후 자연스러운 손의 회전)에 제동을 걸게 된다.
이렇게 되면 양손의 회전은 물론 몸의 회전까지 막게 되므로 경직된 샷이 나오게 된다. 평상시의 그립을 쥐는 힘보다 더욱 부드럽게 잡는다는 이미지로 샷을 가져가야 한다.
이 샷이 '비장의 무기'가 되기 위해서는 연습장에서부터 적정한 그립의 압력으로 샷을 물 흐르는듯이 진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연습을 해야 한다.
▲ 지도= 최명호 프로 golfacademy@empal.com
▲ 진행= 김현준 골프전문기자 golfkim@newsva.co.kr
▲ 사진= 조용준 기자 jun21@newsva.co.kr
▲ 클럽협찬= 청풍교역
▲ 의상협찬= 파72
▲ 장소협찬= 파인리즈골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