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개발구상 용역중지…주택 수급상황 보며 진행
대전시는 지난해 1월 서남부 2, 3단계 개발구상 재정비 용역에 착수했으나 지난 12월 이 용역을 중지했다. 서남부 2,3단계 개발구상을 원점에서부터 전면 재검토에 들어간 것
![]() |
이 같은 결정은 2, 3단계 개발사업이 지난 1999년 7월 수립됐지만 이후 행정중심복합도시와 대덕연구개발특구 지정 등 서남부권 주변환경이 크게 바뀜에 따라 새 틀을 짜야 한다는 안팎의 지적에 따른 것이다.
시는 올 상반기 내 서남부지구 2, 3단계 개발계획 구상(안)을 확정하고, 올 하반기에 2단계 개발방안 확정 및 3단계 난개발 방지대책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서남부지구 2, 3단계 관리방안의 경우 시가화예정용지, 지구단위, 중요시설 결정 등 복수의 안을 놓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으며 개발방식 또한 공용개발, 도시계획구획정리, 복합단지 등 다양한 방식을 검토 중이다.
시 관계자는 "서남부 2, 3단계 관리방안을 정리하지 못해 과업(용역)을 중지한 상태"라며 "계획적인 개발을 못하면 어떤 관리방안이 적합한지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서남부권 개발의 경우 주택 2만 3000호, 6만 5000여 명의 인구를 수용하는 1단계 사업을 진행하면서 기존 시가지의 각종 재개발 사업을 고려, 매년 4000∼5000호씩 공동주택을 분산 공급토록 조치한 바 있다.
결국 서남부 2, 3단계 개발은 시 전체의 전반적인 주택 수급상황을 지켜보면서 서두르지 않을 방침으로 풀이된다.
이로 인해 지난 2003년 개발계획 승인이 난 후 지금까지 이렇다할 개발계획안이 나오지 않아 개발행위허가 제한(59만 9000㎡)과 기간연장(643만 7000㎡, 2008년 10월 23일) 등의 이유로 토지주들만 재산권 행사를 하지 못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