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관계자는 22일 노무현 대통령과 신당 정동영 대선후보와의 관계에 대해 "현 단계에서는 '소극적 지지' 상태이며, 정치적 신뢰를 회복해야 적극적 지지로 갈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최근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되는 등 후보 단일화 문제와 관련, "조건과 환경이 성숙돼야 한다"면서 현 상황에서 후보 단일화 논의는 '시기상조'라는 견해를 보였다.
정동영 후보가 대선승리를 위해 노 대통령과의 적극적인 관계 복원을 시도하고 있는 가운데 청와대가 적극적인 지지를 유보하는 입장을 내놓음에 따라 정 후보의 대응이 주목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전날에 이어 이날도 "아직까지 정 후보에 대한 적극적 지지 보다는 소극적 지지 상태로 봐도 무방하다"면서 ""신당이 과거 여권의 맥락을 잇는 정당이고, 지향하는 가치와 정책이 참여정부와 공감대가 넓기 때문에 그 정당에서 정당한 과정을 거쳐 선출된 후보로 인정하고 있다는 것"이라는 '전제'를 달았다.
그러나 청와대가 정 후보와의 관계에 대해 비록 조건을 붙이기는 했지만, '소극적 지지'라는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는 노 대통령과 정 후보의 관계회복과 관련, "(열린우리당 해체 과정에서 쌓인) 단순한 감정상 앙금이 아니다"면서 "긴 안목에서 정치를 함께 해나간다고 할 때 정치적 원칙에 대한 신뢰회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는 노 대통령이 그동안 강조해온 정치적 원칙에 대해 정 후보가 신뢰를 보여줘야 진정한 관계회복이 이뤄질 수 있다는 '메시지'를 던진 것으로 해석된다.
'대통령과의 차별화 전략'으로 노 대통령과 참여정부의 가치를 훼손한 정 후보의 정치적 노선에 대한 '배신감'이 아직 해소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향후 정 후보의 태도와 입장이 중요하다는 주문인 것이다.
다시 말해 정 후보가 대선 후보로서 참여정부의 철학과 노선, 정책을 계승하고 경선 과정에서 탈락한 정치적 뿌리를 같이하는 세력과의 화합을 어떻게 이끌어내느냐가 관건이라는 게 청와대의 대체적인 기류다.
또 청와대는 최근 범여권 후보 단일화 문제에 대해서도 "조건과 환경이 무르익어야 한다"는 '원칙론'을 강조했다.
후보 단일화에 대한 국민적 요구가 비등하거나 단일화를 해야 할 역사적 당위성이 있어야 가능한 것으로, 범여권의 대선 후보가 선출되자마자 이를 요구하는 것은 현 단계에서는 사리에 맞지 않는다는 얘기다.
박종일 기자 dream@newsva.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