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올해 도입된 총액인건비제 시행을 계기로 기능·하위직 공무원을 줄이고 4∼6급 중간 간부를 늘리는 직급구조 조정을 단행키로 했다.
시 조직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작지만 실행력이 강한 강소 조직으로 만든다는 취지다.
시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서울시 행정기구 설치 조례'가 이달 초 시의회를 통과함에 따라 이달말께 조례를 공포할 예정이다.
조례에 따르면 시는 4급 6명, 5급 19명, 6급 40명을 늘리는 등 4∼6급 정원을 65명 증원하는 대신 일반직 7∼9급 58명, 기능직 62명 등 7급 이하 직원 120명을 줄여 전체적으로 55명을 감원키로 했다.
7월 현재 서울시의 4급 이상 간부는 전체 직원의 2.2%로 행정자치부의 16.8%에 비해 낮고, 5급 8.5%(행자부 30%), 6급 이하 89.3%(행자부 53.2%)로 행자부에 비해 상위직의 비율은 낮고 하위직 비율은 훨씬 높은 실정이다.
시가 이같은 직급구조 개편에 나서기로 한 것은 총액인건비제 시행을 계기로 조직 개편에 대한 시의 재량권이 확대됐기 때문이다.
시는 이를 통해 하위직 위주의 직급구조를 4.5.6급 중심으로 개선한다는 복안이다.
시 관계자는 "하위직 감축은 행정보조직 등 기능이 퇴화한 분야의 기능직 공무원이 퇴직하면 뽑지 않는 방식으로 진행돼 인위적 퇴출은 없다"며 "또 높아진 시민의 행정서비스 욕구를 반영하기 위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이에대해 노조는 직급구조 조정도 3% 퇴출제에 이은 또 하나의 하위직 죽이기라며 반발하고 있어 조직개편 과정에서 갈등이 예상된다.
서울시 노조 관계자는 시민들과 접촉을 많이 하는 현장 행정 위주의 서울시 특성을 감안하지 않은 구조조정이라고 강력히 반발했다.
유은정 기자 apple@newsva.co.kr
<ⓒ '오피니언 리더의 on-off 통합신문' 아시아경제(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