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자치부는 7일 '인구 1만명 미만의 소규모 동((洞)을 통폐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기준을 제시했다.
박명재 행자부 장관은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행정구역의 하나인 동을 통폐합하려는 것과 관련, 이날 브리핑을 통해 "인구가 지나치게 적은 동의 통폐합할 경우 인구기준은 1만명 미만으로 하는게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박 장관은 그러나 "지역별 특성을 감안해 인구 2만명 미만 기준도 무방하다"며 "인구조건 외에 '면적 3㎢ 미만인 지역'을 기준으로 통폐합된 동은 인구 2만∼2만5000명, 통합면적 3∼5㎢가 적정하다"고 덧붙였다.
행자부는 이같은 기준을 적용하면 현재 인구 1만명 미만의 동이 550개, 1만~2만명 미만은 768개 이므로 전국적으로 300여개 정도의 동이 통폐합될 것으로 예상했다.
박 장관은 또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동 사무소의 명칭을 바꿀 계획"이며 " '명친선정위원회'를 구성해 오는 7월까지 명칭을 확정하고 9월부터 시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현재의 동사무소 명칭을 대체할 새로운 이름으로는 '00동 주민생활지원센터', '주민센터', '주민복지센터' 등이 검토되고 있다.
행자부는 서울시의 경우 소규모 동 통폐합시 복지시설건립비 4000억원, 동사무소 운영비 연간 150억원 정도를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정경진 기자 shiwall@akn.co.kr
<ⓒ '오피니언 리더의 on-off 통합신문' 아시아경제(www.akn.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