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5월15일은 스승의 날? '세종대왕 나신 날'로 기억해주세요


올해부터 5월15일 '세종대왕 나신 날' 법정기념일로 지정
세종대왕 생신·업적 관련 국민 생각 조사 결과 발표
'스승의 날=세종대왕 나신 날' 국민 인식 부족
세종대왕 겨레의 참 스승으로 본받자는 의미 담겨


정부가 지난해 5월15일을 국가기념일인 '세종대왕 나신 날'로 지정했지만 아직 이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은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국어문화원연합회와 함께 지난해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후 처음으로 맞이하는 '세종대왕 나신 날'을 축하하기 위해 4월29일부터 5월5일까지 온라인으로 세종대왕의 생신과 그 업적에 관한 국민의 생각을 조사하고 13일 결과를 발표했다.



1964년 5월26일을 '은사의 날'로 기념하다가 1965년부터 교원 단체가 중심이 돼 겨레의 참 스승을 본받자는 의미로 '세종대왕 나신 날'인 5월15일을 스승의 날로 정했다.
1964년 5월26일을 '은사의 날'로 기념하다가 1965년부터 교원 단체가 중심이 돼 겨레의 참 스승을 본받자는 의미로 '세종대왕 나신 날'인 5월15일을 스승의 날로 정했다.
정부는 지난해 '스승의 날'로만 여겨졌던 5월15일을 세종대왕의 업적을 기리는 날로 의미를 더하고자 국가기념일인 '세종대왕 나신 날'로 지정했다.



국민 76.3% "'세종대왕 나신 날' 언제인지 몰라"… 10대 "알고 있다" 16.7%뿐

설문 결과 76.3%는 세종대왕 나신 날이 언제인지, 세종대왕 나신 날과 스승의 날 간의 관계가 무엇인지 모른다고 답했다. 세종대왕 나신 날을 알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연령대별로 60대가 31.5%로 가장 높았고 10대가 16.7%로 가장 낮았다. 대다수는 5월15일을 스승의 날로만 알고 있다고 답했다.


국가기록원 자료 등에 따르면 스승의 날은 1958년 충남의 한 여자고등학교에서 병을 앓고 계신 선생님을 보살피는 봉사활동에서 시작됐다. 1964년 5월26일을 '은사의 날'로 기념하다가 1965년부터 교원 단체가 중심이 돼 겨레의 참 스승을 본받자는 의미로 '세종대왕 나신 날'인 5월15일을 스승의 날로 정했다. 정부는 지난해 '스승의 날'로만 여겨졌던 5월15일을 세종대왕의 업적을 기리는 날로 의미를 더하고자 국가기념일인 '세종대왕 나신 날'로 지정했다.



원본보기 아이콘


농업 장려·출산 휴가 등 세종대왕의 업적 대한 국민 생각 확인

이번 조사에서는 농업 장려, 출산 휴가, 인재 양성, 최초의 여론 조사 시행, 과학 수준 향상 등 세종대왕의 업적에 대한 국민 생각도 확인했다.


세종대왕은 1426년 관청에서 일하는 여성 노비의 출산 휴가를 당시 7일에서 100일로 늘리고, 1430년에는 아이를 낳은 달의 30일을 추가해 모두 130일의 출산 휴가를 줬다. 1434년에는 아기 낳은 여성 노비의 남편에게까지 30일의 휴가를 줘 백성의 복지 정책에 힘을 쏟았다. 이러한 세종대왕의 출산 휴가 정책을 알고 있는지 조사한 결과, 국민 60.7%는 세종대왕의 업적으로 정확히 알고 있다고 답했고, 39.3%는 정조나 영조 등 다른 왕의 정책이라고 잘못 응답했다.


또한 세종대왕은 1430년 3월5일부터 8월10일까지 전국 백성 17만여명을 대상으로 당시의 논과 밭 세금 제도에 대한 의견을 묻는 여론 조사를 처음으로 시행해 찬성 의견 9만8657명, 반대 의견 7만4148명의 결과를 얻어냈다. 이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58%, 모른다고 답한 비율은 42%였다. 연령별로는 50대와 60대가 평균 66.2%로 잘 알고 있었지만, 10대는 36.3%만이 세종의 업적으로 알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밖에 세종대왕 업적 중 ▲'농사직설'을 편찬하고 지역별 농사법과 계절별 농작물 재배 방법 등을 체계적으로 알린 농업 장려 정책에 대해서는 국민 63.8%가 ▲집현전을 설치하고 능력 있는 학사는 업무에서 벗어나 독서만 할 수 있는 특별 휴가인 '사가 독서' 등을 내린 인재 양성 정책에 대해서는 82.2%가 ▲천문 관측소 간의대와 종합과학연구소 흠경각을 설치하고 천체의 움직임을 계산하는 역법 '칠정산'을 만들어 과학 수준을 높인 정책에 대해서는 84.0%가 알고 있다고 답했다.


문체부는 인구 통계 비례에 맞춰 성별·나이·지역별로 응답자를 배분해 이번 조사를 진행했으며 총 1077명이 참여했다고 밝혔다.


유인촌 문체부 장관은 "여성 관노비에게 출산 휴가 130일을 주고, 토지 세금 제도에 대한 대규모 여론 조사 등을 시행한 세종대왕의 정책은 모두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에서 나왔다는 점이 정말 존경스럽다"며 "이번 조사를 계기로 세종대왕의 업적을 더욱 널리 알리고, 앞으로 5월15일 '세종대왕 나신 날'이 온 국민이 함께 축하하고 기리는 날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