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 이후 육군 특수전사령부 소속 중·상사 계급의 희망 전역 신청 인원이 예년에 비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낮은 처우에 대한 실망감과 함께 12·3 비상계엄시 계엄군으로 동원된 데 따른 불만감 등이 복합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은 국방부로부터 ‘최근 5년 특정 기간 내 육군 특전사 계급별 희망 전역’ 자료를 제출받아 분석한 결과 지난해 12월3일부터 올해 2월3일까지 두 달 동안 특전사 소속의 중사·상사 희망 전역 신청 인원은 52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17명) 대비 약 3배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10일 밝혔다.
구체적으로 중사 계급의 경우 전역을 신청한 인원은 총 26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1명)에 비해 약 2.4배, 상사 계급은 26명으로 전년(6명) 대비 약 4.3배 증가했다.
특전사에 소속된 중·상사는 특전사 현행작전 요원 중 70% 이상을 차지하는 중추 계급이다. 유사시 육지, 해상, 공중 등 전천후 침투가 가능하고 정찰, 정보수집, 요인 암살 및 납치, 인질 구출, 게릴라전 등 각종 특수작전을 수행하는 정예 특수부대원이기도 하다.
최근 다른 육군의 일선 부대에서도 근무하는 중사·상사·대위 등 중간계층 간부들의 희망 전역 인원이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세를 보인다. 이들의 지난해 희망 전역 인원은 총 2310명으로 전년(1770명) 대비 30% 이상 늘었다.
특전사에서 이를 뛰어넘는 높은 증가율이 나타나고 있는 것은 본인들의 낮은 처우에 대한 불만, 계엄령 선포 때 직접적으로 동원된 부대라는 점을 불명예로 여기고 있는 것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20년가량 지휘관과 참모로서 특전사에서 근무하고 최근 예편한 한 대령은 “특전부사관은 고도의 작전 수행 능력과 체력이 요구돼, 일반 전투원 육성에 비해 두 배 이상의 훈련기간과 재원이 필요하다”며 “동료 선후배들의 전역 소식은 부대 전체 사기에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복무 의지를 갖고 계속 근무를 희망하는 요원들에게 심리적 동요를 미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유용원 의원은 “특전부사관의 전역 러쉬 현상은 우리 특수작전 수행 능력 저하로 이어져 안보 공백을 초래할 수도 있는 긴요한 문제인 만큼 군 당국의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또 “지난 12.3 계엄에 동원된 일부 특전 요원들은 계엄 상황인지도 모르고 상관의 명령에 따라 동원됐을 뿐”이라며 “국가와 국민을 위해 헌신하고 있는 특전사에 대한 우리 국민의 변함없는 애정과 응원이 절실하다”고 당부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