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 공급대책에도 서울 아파트 가격 5년11개월 만에 최대폭 상승

'강남 3구·마용성'이 가격상승 주도
성동구 아파트값 11년만에 가장 크게 올라
서울 전셋값 65주째 상승

8·8 공급대책에도 서울 아파트 가격 5년11개월 만에 최대폭 상승 원본보기 아이콘

정부가 대규모 주택공급 계획을 담은 8·8 공급대책을 발표했지만 서울 아파트값은 21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올해 주요 집값 상승 지역 중 하나인 성동구의 아파트 가격은 10년11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을 나타내기도 했다. 정부가 지난주 주택 공급을 확대하겠다며 대책을 발표했지만 시장의 공급 우려는 여전한 것으로 분석된다. 집값 상승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서울 집값 더 올랐다

1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8월 둘째 주(12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32% 올랐다. 2018년 9월 둘째 주(0.45%) 이후 약 5년1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8월 둘째 주는 여름 휴가철 비수기인 데다, 정부가 ‘8·8 주택공급 확대 방안’을 내놓은 지 얼마 되지 않은 시점이나 집값 상승세는 꺾이지 않았다.

한국부동산원은 "연초 대비 높은 수준의 거래량이 유지되면서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세가 지지되고 있다"면서 "선호 단지 중심으로 매물 가격이 상승하고, 추격 매수세가 지속돼 상승 폭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강남 3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이 서울 아파트값 상승을 이끌었다. 성동구(0.63%) 아파트값이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성동구 금호동 금호대우아파트 전용면적 84㎡(11층)는 지난 3월 11억4000만원에 팔렸지만, 지난달에는 동일 면적(15층)이 14억4500만원에 손바뀜했다. 4개월여 만에 3억원가량 오른 것이다.


강남 3구로 불리는 송파구(0.58%), 서초구(0.57%), 강남구(0.46%)의 상승률도 높았다. 광진구(0.45%), 동작구(0.41%), 마포구(0.39%), 강동구(0.37%), 용산구(0.36%), 영등포구(0.36%)도 서울 평균을 웃도는 상승률을 나타냈다. 이번 주 수도권(0.16%→0.18%)의 아파트값 상승 폭도 커졌다.

지방(-0.02%→-0.02%) 아파트 가격 하락 폭은 유지됐다. 미분양이 많은 대구(-0.11%)와 제주(-0.06%), 광주(-0.05%), 부산(-0.03%) 등이 하락했다. 전국 기준 주간 아파트값 상승률은 이번 주 0.08%로 집계됐다.


전세 시장에서는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65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상승 폭은 지난주 0.17%에서 이번 주 0.19%로 커졌다.


다만 지난주 서울 25개 구 전체에서 전셋값이 상승했던 것과 달리 이번 주에는 강동구 전셋값이 전주보다 0.06% 떨어지며 하락했다. 수도권 전셋값 상승률은 지난주와 같은 0.14%를 나타냈다.


지방 전셋값 상승률은 0.0%를 기록했다. 지난 5월 넷째 주 이후 12주 만에 보합으로 전환했다.


한국부동산원 측은 "거주 선호도가 높은 신축, 정주 여건이 양호한 단지 위주로 매물 부족에 따른 전셋값 상승이 이어지고 있다"며 "전세 대기수요도 지속되는 등 서울 전체의 상승 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당분간 더 오른다"

전문가들은 집값 상승세가 앞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김지연 부동산R114 책임연구원은 "재개발 규제완화와 그린벨트 해제같은 경우에는 수요 분산 효과가 있긴 하겠지만 장기적으로 봐야할 일"이라고 밝혔다. 이어 "비(非)아파트에서 단기적으로 (정부 정책의) 가시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서울 아파트 공급 부족은 여전하기에 가격은 한동안 계속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이날부터 디딤돌과 버팀목 대출 금리도 올라갔고, 다음 달부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스트레스 테스트 2단계가 실행된다"며 "이로 인해 서울 집값은 상승세가 유지될 것이나, 상승 폭이 현재와 같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정부가 집값 안정을 위해 공급 대책을 내놓는 것도 중요하지만 수요 억제 대책도 병행해야 한다"며 "지난해 서울 아파트 거래 중 25%가 서울 사람들이 아닌 사람들에 의해서 이뤄졌는데, 이런 점을 감안했을 때 토지거래허가구역을 늘리는 것이 집갑 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면 토지를 거래할 때 지방자치단체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아파트의 경우 실거주 요건이 생기면서 외지인의 투자가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수요가 줄어들면 집값 상승세도 완화될 수 있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