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드바르 뭉크의 그림 ‘절규’를 연상시키는 표정으로 발견돼 오랜 시간 궁금증을 불러일으켰던 고대 이집트 여성 미라에 대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이 미라의 표정은 고통스러운 죽음 또는 정서적인 스트레스 때문이었을 것으로 추측했다.
2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은 사하르 살림 카이로 대학교 방사선과 교수 연구팀이 1935년 고대 이집트 제18왕조 하트셉수트 여왕 시대의 건축가 세넨무트 무덤 아래의 나무 관에서 발견된 여성 미라를 컴퓨터단층촬영(CT)과 X선 회절 등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프런티어스 인 메디신’에 실렸다.
이 여성 미라의 발견 당시 인근에서 세넨무트의 어머니와 친척들의 무덤도 함께 발견됐다. 이 때문에 이 여성 역시 세넨무트의 가족 구성원 중 한 명이었을 것으로 추정됐다. 동시대 지체 높은 계층의 미라와는 달리 몸 안의 장기가 제거되지 않았고, 방부 처리를 위한 절개의 흔적이 보이지 않는 것도 특징이었다.
다만 금과 은으로 된 풍뎅이 모양의 반지 ‘스카라베’를 낀 채 매장됐으며, 방부 처리 재료로 값비싼 향나무와 헤나 염료가 사용된 것으로 분석돼 이 여성 역시 상류층이었을 것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또한 이 여성은 생전 키가 155㎝ 정도였고 척추 등에 가벼운 관절염을 앓고 있었으며, 3500년 전 48세 정도에 사망했다는 점도 CT를 통해 밝혀냈다.
이 여성 미라는 무엇보다 크게 벌어진 입과 일그러진 얼굴로 세간의 궁금증을 유발했다.
살림 교수는 “방부 처리를 맡았던 사람들이 시신의 입을 닫아주지 못했고, 시신이 부패하거나 이완되기 전에 미라화가 진행됐을 것”이라며, 이 여성이 사망 당시 극심한 고통이나 정서적 스트레스를 겪었으며 즉각적으로 사후 경직이 나타나 그 고통의 표정이 그대로 남았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 같은 가설에 대해 일부 연구자들은 “사후 경직 때문에 방부 처리를 맡은 사람들이 이 표정을 그대로 놔뒀을 것 같지는 않다”고 반박했다. 카이로 아메리칸 대학교의 살리마 이크람 교수는 “미라화 중 건조 작업은 40일이 걸린다”며 “그동안 충분히 이목구비를 재배열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