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재석에도 "유튜브에서 봤어요"…10대 영향력 커지는데 뒷짐만 지는 유튜브[포커스]

영화·드라마 수천만원 홍보도 유튜브로
"'사이버 레커' 플랫폼 자정 노력 필요"

[이미지출처=SBS '런닝맨' 화면캡처]

[이미지출처=SBS '런닝맨' 화면캡처]

원본보기 아이콘

"유튜브에서 봤어요" 지난 14일 방송된 SBS 런닝맨 프로그램에서 지나가던 한 중학생이 출연자들을 향해 이같이 외치는 모습이 전파를 타며 화제가 됐다. 런닝맨 출연자들은 'TV에서 봤다'는 반응이 아니라 유튜브에서 봤다는 발언에 의아해했다. 10대들에게는 유튜브가 곧 TV이고 극장임을 실감하게 해준 순간이다. 대부분 유튜브를 통해 콘텐츠를 보는 1020세대에게 유튜브 플랫폼의 영향력이 TV보다 훨씬 큰 것이다.

시청 플랫폼 ‘방송→온라인’ 변화
유재석에도 "유튜브에서 봤어요"…10대 영향력 커지는데 뒷짐만 지는 유튜브[포커스] 원본보기 아이콘

마케팅업계도 발빠르게 유튜브로 눈을 돌리고 있다. 통상 영화, 드라마 공개를 앞두고 주연 배우들이 작품을 알리기 위해 홍보 활동을 진행할 때 과거에는 지상파, 케이블 방송을 많이 이용했지만, 최근 온라인 유튜브 채널로 흐름이 바뀌었다. 올해 여름 시장 공개된 한국영화인 '하이재킹'의 하정우, '탈주'의 이제훈과 구교환 등 배우들이 테오의 '살롱드립2', 유재석의 '핑계고', 정재형의 '요정재형' 등 다양한 유튜브 채널에 분주히 출연한 것도 유튜브 채널의 위력 때문이다.


구매력을 갖춘 관객, 소비자들에게 유튜브의 영향력이 크다는 것은 통계 수치로도 알 수 있다. 모바일인덱스는 최근 ‘한국인 88%가 유튜브 앱을 사용한다’고 집계했다. 지난 5월 유튜브 사용자는 4579만명, 월평균 21일 42시간씩 콘텐츠를 시청했다. 사용시간도 늘어나는 추세다. 2021년 5월 15억3106만시간에서 지난 5월 19억1875만시간으로 25%가량 늘었다. 여성보다 남성이 더 많이 이용했으며, 특히 10대 이하 남성이 월평균 56시간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20대 남성이 51.8시간, 10대 이하 여성이 43.5시간 순이다. 유행에 특히 민감한 10~20대 남녀가 유튜브 채널을 가장 많이 사용하면서 마케팅 중심도 유튜브로 이동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사회 문제로 떠오른 유튜브 ‘사이버 레커’들
유튜버 구제역[사진출처=연합뉴스]

유튜버 구제역[사진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이미지출처=유튜버 쯔양 방송화면 캡처]

[이미지출처=유튜버 쯔양 방송화면 캡처]

원본보기 아이콘

다만 유튜브는 지상파에 버금가는 영향력을 가졌음에도 '방송법' 적용은 받지 않아 적절한 규제가 없다보니 이로 인한 부작용이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최근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연구소(가세연)는 유튜버 구제역을 포함해 전국진, 카라큘라 등이 속한 일명 ‘사이버 레커 연합’ 유튜버들이 과거사를 빌미로 유튜버 쯔양을 협박하고 금전을 요구했다고 주장하며 사건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후 쯔양은 방송을 통해 전 남자친구로부터 수년간 협박, 금전갈취, 폭행 등을 당했다고 주장했다. 이 과정에서 구제역 등 일부 유튜버들이 쯔양의 약점을 잡아 돈을 갈취하려 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사이버 레커’가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지난 2월 2050세대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보면 ‘사이버 레커가 사회적 문제’라는 데 응답자 92%가 동의했다. 이들은 사이버 레커 등 유명인 명예훼손 가해자 처벌 강화(94.3%), 피해자 구제제도 강화(93.4%), 플랫폼 자율규제 강화(88.2%)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게 중요하다고 답변했다.

유재석에도 "유튜브에서 봤어요"…10대 영향력 커지는데 뒷짐만 지는 유튜브[포커스] 원본보기 아이콘

문제가 되자 유튜브는 쯔양 관련 사이버 레커로 지목된 채널들에 수익중단 조처를 내렸다. 유튜브는 ‘커뮤니티 가이드라인’에 ▲폭력적 또는 노골적 콘텐츠 ▲괴롭힘 ▲증오성 또는 악의적 콘텐츠 ▲폭력조장 등 금지. 규정 위반 채널에는 경고, 수익창출 중단, 채널 삭제 등의 조치를 취한다고 명시한 데 따른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소극적인 대처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유튜브는 현재 특정 채널에 대한 조치 여부를 밝히지 않을뿐더러 한국 콘텐츠 모니터 담당 인력 규모도 공개하지 않고 있다.


지금 당장 유튜브 콘텐츠 전체를 '방송법'에 편입하기란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상황이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유튜브 콘텐츠를 심의하게 되면 비슷한 온라인 콘텐츠 전체를 모두 규제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일단 플랫폼 자체의 자정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아트스피치앤커뮤니케이션 김미경 대표는 “기술이 정책, 규제를 못 따라갈 경우 범죄율이 높아질 수 있다. 이를 막을 수 없다면 온라인 세상이 난장판이 될 것”이라고 지적하며 “익명으로 활동하지 않는 제도 마련 등 플랫폼 자체의 노력이 꼭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이이슬 기자 ssmoly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