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분기 삼성전자의 실적이 개선된 것으로 확인되며 업계에선 반도체 사업부 매출이 약 2년 만에 대만 TSMC의 매출을 뛰어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추월했다면 8분기 만의 일이다. 앞서 삼성전자는 메모리 한파로 세계 반도체 매출 1위 자리를 2022년 3분기 TSMC에 내준 이후 올해 1분기까지 7분기 연속 TSMC에 밀렸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TSMC의 올해 2분기 매출은 지난해 동기보다 32% 증가한 6735억1000만대만달러로 집계됐다. 우리나라 돈으로 28조5000억여원이다.
이는 당초 6500억대만달러 수준이었던 시장 전망치를 크게 웃돈 수치다. 엔비디아와 애플을 고객으로 둔 TSMC는 2분기에 인공지능(AI) 시장 성장에 힘입어 상당한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도 2분기에 영업이익 10조4000억원으로 '어닝 서프라이즈(깜짝 실적)'를 기록했다. 매출은 74조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23.31% 늘었다.
삼성전자는 지난 5일 잠정 실적 발표에서 부문별 실적은 공개하지 않았다. 하지만 증권가에서는 반도체 사업을 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 매출을 27조~28조원대로 추산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 2분기 매출 14조7300억원 대비 2배 가까이 늘고 올해 1분기 매출 23조1400억원보다도 20%가량 증가한 수준이다.
현재 증권사들이 제시한 2분기 삼성전자 DS 부문 매출 전망치는 최저 27조원(BNK투자증권)부터 최고 28조8000억원(한화투자증권) 사이에 걸쳐있다.
만약 이달 말 나오는 2분기 삼성전자 확정 실적에서 DS 부문 매출이 28조5000억원을 넘으면 TSMC 매출을 앞지를 수도 있다.
앞서 2022년 3분기 때 삼성전자는 TSMC에 매출 역전을 허용하면서 세계 반도체업계 매출 1위 자리도 함께 내줬다.
다만 메모리와 비메모리를 아우르는 종합 반도체 회사인 삼성전자와 파운드리만 하는 TSMC는 사업 포트폴리오가 달라 실적을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다. 또 사업 영역이 겹치는 파운드리만 떼놓고 보면 아직 TSMC가 압도적인 우위를 보인다. 1분기 파운드리 시장점유율은 TSMC 61.7%, 삼성전자 11%로 격차가 크다.
하지만 글로벌 반도체 시장을 이끌면서 서로 경쟁도 하는 두 회사의 위상을 고려하면 매출 1위가 주는 상징적인 의미는 있다고 업계에서는 보고 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