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해수부, 첨단 해양 모빌리티 육성·지원 업무협약

과기정통부-해수부 사이버보안 고도화
저궤도 위성통신 확대·수산 분야 AI 일상화
"긴밀히 협력…해양 모빌리티 세계 시장 선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해양수산부가 첨단 해양 모빌리티 육성·지원 등 해양 분야 디지털 혁신 촉진을 위한 업무 협약을 2일 체결했다.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왼쪽)과 송명달 해양수산부 차관이 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해양 분야 디지털 혁신 촉진을 위한 업무협약식'에서 기념촬영 하고 있다/사진=과기정통부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왼쪽)과 송명달 해양수산부 차관이 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해양 분야 디지털 혁신 촉진을 위한 업무협약식'에서 기념촬영 하고 있다/사진=과기정통부

원본보기 아이콘

첨단 해양 모빌리티란 탈탄소·디지털 등 첨단 융·복합 기술이 적용돼 해상에서 사람·재화를 이동시키는 수단이나 해상교통 환경 및 이와 관련된 서비스를 말한다.

최근 해양 분야 디지털화가 가속화되면서 스마트 선박 해킹 등 사이버 위협이 커지는 한편 자율운항 기술개발, 해상통신의 디지털화 및 스마트 항만 구축 등 첨단 해양모빌리티가 발전하고 있다. 이에 양 부처 간 협력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이번 업무협약이 체결됐다.


양 부처는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해사 사이버보안 기술을 고도화하고 저궤도 위성통신 활용 분야의 확대 및 해양수산 분야 AI 일상화 등 협업을 강화할 계획이다.


강도현 과기정통부 2차관은 "AI 등 디지털 기술이 해양 분야에서도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면서 "해양 분야도 지난 9월 정부에서 수립한 '디지털 권리장전'을 준수하고 새로운 디지털 질서 정립에 함께 할 수 있도록 사이버보안, 인공지능, 저궤도 위성통신 등을 해수부와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송명달 해양수산부 차관은 "해양 디지털 분야 연구개발을 활성화하고 신기술의 해상 실증 환경을 제공하는 등 부처 간 협업을 통해 첨단 해양 모빌리티를 육성·지원하고 관련 분야 세계시장을 선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황서율 기자 chestnu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