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SH공사 단지 수익률 격차 20% 이상…실제 분양원가 공개해야"

비슷한 위치·분양시기 단지 비교
LH 수서역세권 34.8% vs SH 세곡2지구 20.7% 등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의 공공주택단지 간 수익률이 20% 이상 차이 난다는 분석이 나왔다. 실제 분양원가 공개를 통해 분양시장의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SH공사는 LH·SH공사 공공주택단지 간 수익률을 비교해 이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분석은 비슷한 위치에 있는 SH공사의 세곡지구 2-3·4단지와 LH의 수서역세권 A3블록, 내곡지구(SH공사)와 고등지구(LH), 비슷한 시기에 분양한 고덕강일 8단지(SH공사)와 과천지식정보타운 S3·S7(LH) 등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SH공사에 따르면 LH가 분양한 수서역세권 A3블록의 분양 수익률은 34.8%, SH공사가 분양한 세곡지구 2-3단지는 20.7%로, LH의 수익률이 14%포인트가량 높게 나타났다. ㎡당 분양수익도 수서역세권 A3블록이 228만원, 세곡 2-3단지가 85만원으로 LH가 143만원가량 높았다.


LH의 성남고등 S3블록과 SH공사의 내곡지구 단지 간 수익률 격차도 컸다. 성남고등 S3블록 분양 수익률은 26%, SH공사 내곡지구는 1단지 31%, 7단지 2%였다.

"LH·SH공사 단지 수익률 격차 20% 이상…실제 분양원가 공개해야" 원본보기 아이콘

2020년 하반기 분양한 단지 수익률도 비교 분석했다. LH의 과천지식정보타운 수익률은 S3이 50%, S7이 46.2%였던 반면, SH공사 고덕강일 8단지는 34%로 최대 16%포인트의 격차를 보였다. 3개 단지의 ㎡당 분양원가는 360만원 내외로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분양수익은 과천 S3이 354만원, S7이 321만원으로 고덕강일 8단지(182만원)와 비교해 2배 가까이 높았다.

"LH·SH공사 단지 수익률 격차 20% 이상…실제 분양원가 공개해야" 원본보기 아이콘

이와 관련 SH공사는 수분양자들이 분양사업자의 분양수익이나 원가 대비 분양가 비율 등을 비교해 합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공공주택사업자가 분양원가를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행 분양가 공시제도는 준공 시점의 실제 투입금액에 기반한 분양원가를 공개하는 것이 아닌 입주자모집공고 시점의 분양가격 내역을 공개한다. LH, SH공사 등 공공주택사업자가 공급하는 주택 역시 분양원가를 알 수 없다.


김헌동 SH공사 사장은 “공공주택사업자라도 분양원가와 수익률을 공개해 수분양자들이 적정 가격을 판단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공공주택사업자가 분양원가를 의무적으로 공개하도록 정책 혁신은 물론 투명경영에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권현지 기자 hj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