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지 줍는 노인들 월 소득 16만원 그쳤다

복지부, 2023년 폐지 줍는 노인 실태조사

폐지를 줍는 노인들의 개인소득이 월평균 소득은 노인가구 평균의 절반도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지를 팔아 번 돈은 월 16만원에 그쳤다. 정부는 내년 1월부터 지자체를 통해 폐지 수집 노인들을 전수조사해 노인 일자리 사업을 소개해 연계한다는 계획이다.


28일 보건복지부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3년 폐지 줍는 노인 실태조사’ 결과와 지원대책을 내놨다. 정부 차원에서 폐지를 수집하는 노인들에 대한 지원책이 나온 건 처음이다. 이번 실태조사는 전국 고물상 4282곳 가운데 지역 대표성을 가진 105곳을 표본으로 추출해 진행했다. 해당 고물상에 폐지를 납품하는 노인 1035명을 일대일 대면조사해 진행하는 방식이었다.

실태 조사 결과 해당 노인들의 개인소득은 폐지를 팔아 번 돈을 포함해 74만2000원, 가구 소득은 113만5000원이었다. 2020년 노인실태 조사에서 노인 개인소득은 129만8000원, 가구소득은 252만2000원이었는데 이와 비교할 때 각각 57%, 43% 수준에 그쳤다. 해당 노인들의 주된 수익언은 기초연금이 49.9%를 차지했고 폐지를 주워 얻는 수입은 15%를 차지했다. 폐지를 주워 얻는 소득은 월 15만9000원에 불과했다. 이들은 하루 평균 5.4시간, 일주일에 6일 간 폐지를 주웠다. 페지를 줍는 시간당 소득은 1226원이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노인들의 정신건강도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울감이 있다고 응답한 노인들은 전체의 39.4%로 전체 노인 가운데 우울감이 있다고 응답한 노인 13.5%보다 2.9배나 더 많았다. 스스로 건강하다고 인지하는 비율도 21.4%에 불과했는데, 전체 노인은 46.9%가 스스로 건강하다고 응답해 대조를 이뤘다. 이들의 79%는 노인 일자리 사업을 알고 있었지만, 참여하는 비율은 9%에 불과했다.


복지부는 내년 1월부터 지역 내 폐지 수집 노인의 인적 사항을 확보하는 전수 조사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확보된 인적사항으로 노인일자리 사업을 연계해 삶의 질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개별 노인의 요구와 성향을 고려하되, 75세 이상 고령층은 연령·건강 등을 고려해 '공익활동형' 참여를 유도하고 29만원의 수당을 받게 할 방침이다. 근로 능력이 높거나 더 많은 소득을 원하는 노인은 '사회서비스형'으로 안내해 76만원의 수당을 받도록 지원한다.




세종=이은주 기자 golde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