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언론재단, '정부광고지표' 활용 중단

정부기관 등 광고주 요청 시 참고자료만 제공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정부광고지표' 활용을 28일 자로 중단한다고 밝혔다.

문체부·언론재단, '정부광고지표' 활용 중단 원본보기 아이콘

문체부와 언론재단은 향후 정부기관 등 광고주가 매체 선정에 필요한 자료를 요청할 경우 참고자료로만 제공할 방침이다.


정부광고지표는 2021년 7월 ABC 부수에 대한 활용 중단의 후속 조치로 2022년부터 인쇄매체에 적용됐다. 열독률 중심의 효과성 지표에 신뢰성(사회적 책임) 지표 등을 더한 복수지표로 구성됐다.

하지만 열독률 조사 구간화 기준의 적절성 여부, 결과 신뢰도 하락 등의 논란을 일으켰고 정부가 정한 기준에 따른 언론사 순위 제공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지난 10월 국정감사에서는 '신문 열독률' 통계 조작이 논란이 됐다. 당시 여당은 "전체 1위 신문사와 진보 언론사의 열독률이 6배 차이가 나는데 동일하게 1등 구간에 들어가도록 조정했다"며 "열독률 외에 ‘사회적 책임 지표’를 정부 광고 집행 기준으로 추가했는데, 이로 인해 왜곡된 결과가 나올 수밖에 없어 이는 누가 봐도 통계 조작"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야당은 언론재단 특별감사에서 통계적 조작은 없었다고 반박했다.


현행 정부광고법과 시행령에서는 정부기관 등 광고주의 의견을 우선해 홍보매체를 선정하도록 하고 있으며, 광고주가 필요한 자료를 요청하는 경우 문체부가 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문체부는 "광고주의 자율적 매체 선정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면서도 불필요한 논란으로 시장의 신뢰를 잃는 일이 없도록 의견수렴과 모니터링 등을 지속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김희윤 기자 film4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