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태영 워크아웃에 "시장안정 조치 취할 것"

"일부 건설사 어렵지만 은행체력 튼튼" 우려 경계

대통령실은 28일 태영건설 기업구조개선(워크아웃) 신청 등 건설사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유동성 문제가 불거진 것에 관련해 "리스크 관리와 함께 시장 안정을 위한 모든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태영건설 발 부동산 PF 문제에 대한 입장을 묻는 아시아경제에 "정부도 그동안 F4회의(Finance 4, 경제부총리·금융위원장·한국은행·금융감독원장 참석 회의) 등을 통해 종합적으로 점검해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등은 전날 회의를 갖고 태영건설 워크아웃 가능성과 부동산 PF 현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관계자는 "그동안 지속된 고금리와 공사비 상승 등에 따라 부동산 등 건설시장 상황을 모니터링해 오고 있었고, 주요 건설사의 상황도 지속 점검해왔다"며 "일부 건설사가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고금리 상황에서 은행들의 체력이 튼튼해진 상황"이라고 지나친 우려를 경계했다.


이어 "앞으로 건설사가 워크아웃 절차를 들어간다고 하더라도, 워크아웃은 신청기업뿐만 아니라 금융회사, 협력업체 등에도 유리하며, 경제·사회적 비용이 적게 들게 돼 서로에게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으로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태영건설이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작업)을 신청한 28일 서울 영등포구 태영빌딩에서 태영건설 깃발이 바람에 펄럭이고 있다. 사진=강진형 기자aymsdream@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으로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태영건설이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작업)을 신청한 28일 서울 영등포구 태영빌딩에서 태영건설 깃발이 바람에 펄럭이고 있다. 사진=강진형 기자aymsdream@

원본보기 아이콘

시공 능력 평가 16위의 태영건설이 이날 오전 부동산 PF 대출을 갚지 못해 워크아웃을 신청했다. 현재 태영건설의 PF 대출은 약 3조2000억원(한국신용평가)이며, 이달까지 태영건설이 갚아야 하는 대출 규모는 3956억원에 이른다.


이에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도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개시를 위한 제1차 금융채권자협의회를 소집했다. 워크아웃은 부도로 쓰러질 위기에 처해 있는 기업 중에서 회생시킬 가치가 있는 기업에 만기를 연장해주고, 자금을 지원해 살려내는 작업이다. 워크아웃을 시작하려면 채권단 75%의 동의가 필요하다.





이기민 기자 victor.le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